개체 수 늘고 활동력 높아져…농식품부 "당분간 재입식 불허"
여름을 앞두고 확산 위험이 커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을 막기 위해 정부가 강화 대책을 마련한다. 차량과 사람 등 전파요인을 차단하고, 매개체인 멧돼지 포획에도 적극 나선다. 살처분 농가의 재입식도 당분간은 허용하지 않는다.
ASF는 지난해 9월 16일 국내에서 처음 발생했다. 이후 대규모 살처분 등 조치를 통해 10월 9일 마지막 발생 후 7개월 동안 사육돼지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다만 야생멧돼지에서는 여전히 ASF가 확인되는 상황이다. 정부는 멧돼지 차단을 위해 약 900㎞의 울타리를 설치하는 한편 포획틀과 트랩 등을 통해 지금까지 약 9000마리의 멧돼지를 제거했다.
하지만 여름을 앞두고 ASF의 전파 우려가 다시 커졌다. 이재욱 농식품부 차관은 "봄철 멧돼지 출산으로 개체수가 늘어난 후 여름철에 활동성이 증가하고, 장마철이 되면 접경지역의 바이러스 오염원이 하천 등을 통해 전파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또 매개체와 사람·차량 이동이 빈번해지면서 이를 통해 농장으로 바이러스가 유입될 가능성도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여름철 사육돼지에서도 다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할 우려가 큰 것으로 보고 방역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매개체·차량·사람 등 주요 전파요인에 대한 관리 강화 대책이 제대로 이행되도록 다음 달부터 농장 점검을 강화한다. 위험도에 따라 멧돼지 발생지점 반경 10㎞ 내 농장은 주 1회, 경기·강원 북부지역은 월 1회, 그 외 전국 농장은 오는 7월 말까지 추가 점검 활동을 벌인다.
특히 지난 4∼5월 전국 농장 점검에서 미흡한 사항이 발견된 농장은 관리농장으로 지정해 신속하게 미비점을 개선하도록 특별 관리한다. 또 경기·강원 북부 지역에서 '축산 차량 농장 출입 통제 조치'를 위반한 농장은 6월부터 일부 정책자금 지원을 제한하기로 했다.
ASF 전파 경로와 축산 관계 시설은 상시 예찰한다. 접경지역의 토양·물·매개체와 도축장과 같은 축산시설에 대한 환경 검사를 주기적으로 시행하고 바이러스가 검출될 경우 즉시 대응한다.
멧돼지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발생지역과 인근 지역은 발생·완충·차단지역으로 구분해 포획 방식을 달리한다.
차단지역은 대대적인 총기 포획으로 개체 수를 적극적으로 줄이고, 완충지역은 멧돼지가 차단지역으로 달아나지 않게 포획 틀과 덫을 집중 배치에 안정적으로 개체 수를 줄인다.
ASF발생지역은 제한적 총기 포획과 포획 틀·덫 사용을 병행하되 다발지역에 대해서는 울타리 안에 개체를 고립시키고 포획 틀과 덫을 집중적으로 배치해 포획한다.
광역 울타리는 멧돼지가 남하할 가능성이 큰 지역을 사전 조사해 추가 설치가 필요한 노선을 미리 정해놓고 광역 울타리 밖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할 경우 즉시 설치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환경부는 강원 화천, 양구, 고성 등 발생지역에서 경기 가평, 강원 춘천, 속초 등 비발생지역으로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화천-가평-춘천에 이르는 약 35㎞ 구간, 미시령 옛길을 활용한 23㎞ 구간, 소양호 이남 약 80㎞ 구간을 추가 필요노선으로 검토하고 있다.
울타리 훼손 구간은 신속하게 보강하고 출입문 닫힘 상태를 철저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시 유지관리 인력은 45명에서 95명으로 늘리면서 구간별 실명관리제를 시행한다.
ASF 감염 개체가 발견된 지역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폐사체 수색은 발견지역 주변 30㎞로 확대하고 수색 인력은 257명에서 356명으로 확대한다.
발생지점 주변과 인근 수계·도로 등 지역을 광범위하게 소독하고 농장으로 연결되는 비무장지대(DMZ) 통문 73개소와 민간인 출입통제선 출입문 69개소를 드나든 차량과 사람, 경기·강원 북부 양돈 농가 주변과 진입로는 매일 소독한다.
여름철 확산 우려가 커지면서 당분간 살처분 농가 261호에 대한 재입식은 허용하지 않는다.
이 차관은 "여름이 지나고 사육돼지에서 병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멧돼지 발생 상황과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9월부터는 농장 세척·소독·점검 등 재입식을 위한 사전 절차를 진행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