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에너지 수급 가능성 따라 적합한 동력원 달라…최연우 과장, "전 분야 걸친 수소 생태계 조성"
수소차와 전기차는 양자택일할 수 없고, 함께 보급해나갈 대상이라는 제언이 나왔다.
‘2020 수소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가 2일 개최한 ‘국제 수소포럼’에서 김세훈 현대자동차 연료전지사업부 전무는 “현대차는 수소차뿐 아니라 전기차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수소차와 전기차는 같이 갈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김 전무는 세계 최초의 양산형 수소연료전지자동차(FCEV) 투싼 ix35 연료전지 프로젝트를 주도했고, 2세대 FCEV인 넥쏘의 탄생에 기여한 연료전지 분야 전문가다.
김 전무는 “많은 국가가 2040년 이후 내연기관 운행을 금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 확대될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할 효과적인 수단이 바로 수소”라고 밝혔다.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는 지역별, 시기별로 편차가 발생해 저장이 필수적인데, 수소는 많은 양을 오랜 기간 저장할 수 있고 장거리 이동 시 에너지 손실이 적어 국가 간 운송에도 적합해서다.
김 전무는 “신재생 에너지가 풍부해 전기를 만들 수 있으면 전기차에 바로 이용하면 된다”며 “반면, 신재생 에너지가 부족해 수소를 수입하는 국가는 이를 전기로 바꾸는 대신 곧바로 수소차에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국가 특성과 에너지 체계 차이에 따라 수소차와 전기차가 적합한 지역이 다르다는 뜻이다.
다만, 트럭 등 상용차 분야에서는 수소차가 훨씬 적합하다는 설명도 이어갔다. 김 전무는 “트럭은 전기차가 감당하기 힘들다”며 “배터리도 무겁고, 장거리를 가려면 너무 많은 배터리를 실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현대차는 현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요구에 따라 수소 시내버스를 개발 중이고, 수출시장 확대를 위해 대형 수소트럭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밖에도 수소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 가능성이 큰 모빌리티 분야 역시 제시됐다.
김 전무는 환경규제 강화로 기존 내연기관 동력원을 대체할 필요성이 커진 선박과 철도 분야를 비롯해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역시 장시간 비행을 위해 연료전지가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정부의 수소경제 현황을 설명하고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하는 시간도 있었다.
최연우 산업통상자원부 신에너지사업과 과장은 "지난해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발표된 뒤 세계 수소차 판매량의 63%를 한국이 차지하는 등 성과가 있었다"면서도 "수소차 등 활용 분야에 치우친 성장을 거둔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수소 생산과 충전 등에 비해 모빌리티 분야에 한정해 발전이 이뤄졌다는 설명이다.
최 과장은 "전 분야에 걸친 수소 산업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며 "이를 위해 정부는 2040년까지 수소 전문기업 1000개를 육성하고, 규제를 상시로 개선하며, 교육 등 생태계 혁신 분야에도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