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직업 활성화 방안' 및 '사회적경제기업 일자리 창출 지원 방안' 확정
정부는 13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경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경제 중대본)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미래 산업·직업구조 대비 신직업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면서 청년 일자리를 만들고, 국민의 안전한 삶을 지원한다는 취지다.
기재부에 따르면, 직업사전상 우리나라의 직업 수는 지난해 기준 1만6891개로 미국(2010년 3만653개) 등 선진국보다 적은 상황이다. 이제 정부는 14개+α 유망 신직업의 안착을 지원하고, 37+α 잠재 신직업을 발굴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인센티브 마련 등 추진체계를 강화하고, 워크넷을 통한 일자리 정보제공 기능도 강화한다.
먼저 14개+α 신직업은 융복합 신산업 분야, 생활·여가·안전 분야, 재난·안전 분야로 나뉜다. 직업별로는 △스마트건설 전문가, 융복합 콘텐츠 창작자, 데이터 시각화 전문가, 미래차 정비기술자, 녹색금융 전문가, 커머스 크리에이터(이상 융복합 신산업) △육아전문 관리사, 문화예술 후원 코디네이터, 난민전문 통번역인, 산림레포츠 지도사, 목재교육 전문가, 오디오북 내레이터(이상 생활·여가·문화) △민간 인명구조사, 기계설비 유지관리자(이상 재난·안전) 등이다.
홍 부총리는 회의에서 “스마트건설 전문가, 미래차 정비기술자, 육아전문 관리사 등 신직업이 활성화하도록 관련 법제도 정비 및 전문인력 양성, 초기 시장수요 창출 등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다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도입을 검토하는 신직업은 사이버 도시 분석가, 양자 머신러닝 분석가, 개인기억 큐레이터, 디지털 재단사 등이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 중 연구용역을 통해 도입 필요성, 시장 수요규모 등을 분석하고, 그 결과와 일자리 정보를 워크넷에 공개하는 등 시장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하반기부턴 구체적인 정부 차원의 신직업 도입 방안을 마련한다.
아울러 이날 회의에선 ‘사회적경제기업 일자리 창출 지원 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홍 부총리는 “지난해 우리의 사회적경제기업 수는 2만7452개, 종사자 수는 28만4875명으로 최근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모습”이라며 “그러나 사회적경제기업의 잠재력과 일자리 창출 여력에도 불구,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에 비해 우리의 사회적경제기업의 역할은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정부는 사회적경제기업의 질적 성장과 자생력·경쟁력 강화를 통해 2022년까지 6만4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론 △사회적경제기업 성장 특례보증 지원(1~3억 원→최대 2배), 사회투자펀드 조성액 확대(연 250억 원→500억 원), 공공기관의 동기업 제품 의무구매 제도화, 온라인 판매채널 확대 등을 통한 스케일업(scale-up) 지원 △사회적경제기업을 지역별 혁신타운·성장지원센터(소셜캠퍼스온) 등 사회적경제 허브로 조성하고 이를 통해 지역밀착형 사업모델 개발 △사회적경제기업 유망진출 분야 발굴 및 문화·교육·과학 분야 사회적경제기업 자생력 강화 등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