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각규 물러난 롯데, 체질 개선ㆍ디지털 전환 드라이브 건다

입력 2020-08-13 17:26수정 2020-08-13 17: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황각규 롯데지주 부회장

황각규 롯데지주 부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면서 최고경영진 세대교체를 이룬 롯데가 체질개선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예상된다.

재계에서는 신동빈 회장의 '복심'으로 불리던 황 부회장의 전격 퇴진을 두고 최근 롯데그룹의 실적 부진으로 사실상 경질된 것으로 보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지주는 이날 임시 이사회를 열고 황 부회장의 퇴진을 결정했다.

황 부회장의 퇴진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 황 부회장은 소진세 전 롯데 사회공헌위원장(현 교촌에프앤비 대표), 고 이인원 부회장과 더불어 '신 회장의 남자' 3인방으로 불렸던 인물이다.

특히 황 부회장은 신 회장을 30년 간 보좌한 오른팔이다. 신 회장이 1990년 호남석유화학(현 롯데케미칼)에 상무로 롯데그룹에 입사할 당시부터 황 부회장은 호남석유화학 부장으로 직속으로 일해왔다. 황 부회장은 2017년 롯데지주 출범 당시 공동 대표이사를 맡으며 신 회장에 이은 2인자로 우뚝섰다. 2018년에는 부회장으로 승진해 계열사들을 조율하고 사업 밑그림을 그렸다.

신 회장이 그룹 경영에 참여할 때부터 호흡을 맞춰왔던 만큼 이번 인사를 롯데의 변화를 암시하는 복선으로 보는 시각도 지배적이다.

▲이동우 신임 롯데지주 대표(롯데하이마트 대표)
황 부회장의 후임으로는 이동우 롯데하이마트 대표가 롯데지주 대표이사에 선임됐다. 신임 대표는 신동빈 회장과 송영덕 부회장과 함께 3인 대표체제를 구축하게 됐다.

황 부회장이 롯데 2인자에 오른 후 실적은 신통치 않다. 주력 계열사인 쇼핑과 화학 부문에서 경쟁사에 비해 뒤처진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쇼핑의 경우 이미 쿠팡으로 검증된 온라인 전환 속도가 한참 늦은데다 코로나19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배터리 사업 등을 추진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는 라이벌과 달리 화학 사업도 지지부진하긴 매한가지다.

롯데가 임시 이사회를 열고 비인사철에 인사를 단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통상 롯데그룹은 연말 정기 인사를 실시해왔다. 갑작스럽게 2인자를 바꾸는 것은 그룹의 위기감이 그만큼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 회장은 이번 인적 쇄신을 통한 체질 개선에 무게를 둔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롯데그룹은 지난해 말에도 유통 부문을 중심으로 22개 계열사의 대표를 교체하는 대대적인 물갈이를 단행했지만 전반적인 실적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아직 뒷받침되지 못하는 형편이다.

롯데쇼핑의 경우 지난 2분기 영업이익 14억 원을 거둬 지난해 같은 기간(915억 원)보다 98.5% 급락했다. 매출 역시 4조4585만 원으로 9.2% 줄었다. 상반기 누계로도 영업이익 급락폭은 82.0%에 달한다. 롯데케미칼도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석유화학 제품의 수요 감소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영업익이 90% 가까이 쪼그라들었다.

이에 비해 신임 이동우 대표가 이끌어온 롯데하이마트는 코로나19에도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롯데하이마트의 2분기 매출액은 1조1157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2% 성장했고, 영업이익 693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1.1% 증가했다. 이 대표는 1960년 생으로 황 부회장보다 5살 젊다. 보다 젊은 조직으로 환골탈태하기 위한 적임자라는 평이 나오는 이유다.

이 대표는 신 회장의 DT(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전략을 구체화하는 막중한 책임을 떠맡았다. 신 회장은 지난 5월 열린 임원 회의에서 포스트 코로나 대응 전략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트코로나의 핵심이 디지털 전환이다.

롯데는 롯데온을 출범시키며 언택트 시대에 걸맞은 디지털 플랫폼을 갖추고 고객맞춤형 상품 추천과 빠른 배송을 현실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기존 이커머스의 성공전략을 답습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디지털 전략을 수립하고 승부수를 띄우는 것이 이 대표에게 던져진 숙제인 셈이다.

이번 인사를 계기로 지주 조직도 대폭 개편된다. 롯데지주의 전략 기능을 크게 줄이고 지주 인력상당수를 계열사로 보내 현장 실무형 조직으로 탈바꿈시킨다는 복안이다.

재계 관계자는 “지난해말 고강도 인사에도 불구 성과가 좋지 않자 더 충격적인 인적 쇄신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면서 “젊은 대표에게 과제를 맡겨 보자는 심리도 작용했을 것”이라고 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