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증 감염자 산발적·동시다발적 발생…거짓뉴스 확산에 진단에도 비협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이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3월 신천지(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사태보다 심각한 전국적 대유행으로 번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은 17일 “현재 상황이 예전에 대구·경북이나 이태원, 쿠팡과 다르게 조금 더 어렵다고 보고 있다”며 “대구·경북이나 이태원, 쿠팡 같은 경우는 단일 폭로원을 가지고 숫자는 많지만 추적조사를 진행했던 상황이었는데, 지금 수도권의 유행 상황은 6개월간 누적돼왔던 무증상·경증 감염자가 산발적으로 여러 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생기고 있고, 또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미분류 사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수도권 감염에서 최대 감염원은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다. 콜센터, 방문요양센터, 요양병원, 어린이집, 학원 등으로 추가 전파가 이뤄지면서 총 319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지역적으로는 서울(209명), 인천(13명), 경기(85명) 등 수도권뿐 아니라 대구(1명), 충남(5명), 경북(1명), 대전(1명), 강원(4명) 등 비수도권으로도 번지고 있다. 131명의 확진자가 나온 경기 용인시 우리제일교회 사례도 복지관, 물류센터, 어린이집, 공인중개업체 등으로 확산했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진단검사를 앞둔 사랑제일교회 신도들이 15일 광복절 집회에 참석한 것으로 확인돼서다. 참석자 중 미확진 감염원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크고, 접촉자도 불특정 다수로 광범위하다. 그나마 신천지, 쿠팡 등 집단감염이 발생했을 땐 지금보다 접촉자 파악이 용이했다. 신천지는 종교행사가 폐쇄적이었고, 쿠팡은 직장 내 감염으로 접촉자를 근무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태원 사태는 지표환자 동선을 중심으로 지역이 제한적이었다. 또 확진자 상당수가 20·30대 젊은 층이라 감염 규모는 컸지만, 치명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최근 집단감염은 확진자들의 동선에 종교행사뿐 아니라 다중이동시설 방문, 집회 참여 등이 포함돼 접촉자가 광범위하면서 불분명하다. 접촉자들이 미확진 감염원으로 외부활동을 이어가는 경우 ‘N차 전파’로 확산할 우려가 크다.
무엇보다 일부 교회는 방역대응에도 비협조적이다. 정 본부장은 “보건당국에서 검사를 하면 모두 다 양성이 나온다는 그런 거짓 뉴스가 많이 전파되고 있다고 들었다”며 “방역당국의 검사 결과는 조작이 불가능하고 그럴 이유도 없다”고 강조했다. 또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면 교인들의 생명도 위험해지고. 또 가장 가까운 사랑하는 가족들까지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며 “방역당국을 믿고 신속하게 검사를 받아주고, 자가격리를 철저히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계절도 방역활동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다. 맞물려 장마가 지나고 날씨가 더워지면서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 준수가 느슨해져서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은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수도권 공동대응체계 가동을 미리 준비하는 등 의료대응 역량은 높아졌지만 코로나19의 장기화, 여름철 장마와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사회적인 긴장도가 떨어져 거리 두기를 통한 확산 차단에는 더 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역학조사만으로 모든 접촉자를 추적해 추가 전파를 차단하는 건 불가능하므로, 광화문 집회 참석자 등 접촉자들은 자발적으로 진단검사에 응해달라고 당부했다. 더불어 사회적 거리 두기에도 협조해줄 것을 요청했다.
정 본부장은 “의료적인 대응이나 방역적인 대응으로 유행을 차단하는 데에는 분명히 한계가 있다”며 “이러한 유행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해 사람 간의 전파를 줄이는 것이 최상의 대책”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