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한국판 뉴딜 '대규모 지원'…'수익성 경고등' 어쩌나

입력 2020-09-03 18: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로나 대출·이자 유예 등 부담 가중

금융권이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 정책에 선봉장 역할을 맡았다. 향후 5년간 170조 원이 투입되는 한국판 뉴딜 정책에 민간 금융기관의 몫이 70조 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20조 원 규모로 조성되는 뉴딜펀드까지 고려하면 민간 금융회사들이 부담해야 할 금액은 더 커진다. 이미 혁신금융으로 수십조 원의 지원 방안을 내놓은 데다 코로나19 이후 소상공인 이자 면제 등 다방면으로 지원책을 운영 중인 만큼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제1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에서 한국판 뉴딜과 관련해 금융권이 ‘170조 원 + 알파(α)’ 규모의 금융 공급을 하는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2025년까지 정책금융기관이 약 100조 원, 민간 금융기관이 70조 원을 맡는다. 여기에 20조 원 규모로 정책형 뉴딜펀드도 조성한다. 20조 원 중 민간금융이 13조 원을 충당해야 한다.

이날 회의에는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 윤종규 KB금융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김광수 NH농협금융 회장 등 5대 금융그룹 회장이 대거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5대 금융지주 수장들은 “정부 정책에 적극 지원하겠다”며 동참 의사를 밝혔다.

지주사별 지원금액은 신한금융이 28조5000억 원, NH농협금융 13조8000억 원, KB금융 10조 원, 하나·우리금융이 각 10조 원을 한국판 뉴딜에 투입한다. 이를 합하면 72조3000억 원 수준이다. 이미 지원책을 내놓은 금융사들은 추가로 곳간을 열고 있다. 농협금융의 경우 13조8000억 원의 뉴딜 투자계획을 공개했다. 8조 원에 달하는 그린 뉴딜 투자계획을 내놓은 데 이어 약 1주일 만에 지원금액을 늘렸다.

앞에서는 적극 지원을 약속하고 있지만, 뒤로는 불안한 기색이 역력하다. 사전 공감대 형성 없이 열린 이번 회의는 구체적인 금융 지원을 끌어내기 위한 성격이 짙었다는 게 업계 입장이다. 더 큰 문제는 이미 많은 지원을 통해 은행의 수익성에 경고등이 켜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얼마 전 5대 금융은 한국판 뉴딜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디지털 인프라 구축, 친환경 사업 투자 등 혁신금융 지원을 위해 수조 원의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앞서 4월 민간 금융사들은 10조 원 규모 채권시장안정펀드에 8조 원, 증권시장안정펀드에는 8조 원을 출자하기도 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소상공인 대출 지원에도 나서고 있다. 시중은행은 4월 자영업자와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대출 만기와 이자 상환을 6개월 연장해 줬다. 이 조치는 최근 다시 6개월 연장되면서 은행들의 부담이 커진 상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취지를 이해하면서도 코로나19 이후 너무 많은 자금과 인력이 투입되고 있다”며 “빅테크 업체와 경쟁해야 하는 은행 입장에서 자칫 자체 혁신 과제들이 뒷전으로 밀릴 수 있다는 불안감도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