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병 이후 바이오·헬스케어 사업이 주목받으면서 통신사들의 관련 사업에 빠른 속도로 참여하고 있다. 비대면 의료 환경 증가에 따른 헬스케어 부문과 통신 인프라와의 접점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SK텔레콤은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 기업 인바이츠헬스케어와 정밀 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 등 3사 합동으로 소비자 직접의뢰(DTC) 유전자 검사 기반 개인 맞춤형 건강 코칭 서비스 '케어에이트 디엔에이(care 8 DNA)'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SK텔레콤의 ICT 플랫폼 역량, 인바이츠헬스케어의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 및 운영 역량, 마크로젠의 유전체 분석 기술 역량을 모아 개발했다.
케어에이트 디엔에이는 △유전자 검사 △코칭 상담 △건강 정보 등을 제공한다. 고객은 집으로 배송된 검사 키트에 검체(침)를 채취해 보내면, 약 2주 후 전용 앱을 통해 유전자 검사 결과와 이를 기반으로 한 개인 맞춤형 건강 코칭을 받을 수 있다.
이날 KT도 '글로벌 감염병 대응 플랫폼(GEPP)'을 통한 해외 진출 전략을 공개했다.
KT와 메디컬파트너스코리아(MPK)는 카자흐스탄을 전초기지로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및 보건의료 정보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KT의 ICT 역량을 활용한 K방역 확산에 나설 예정이다. 이 외에도 2021년부터는 러시아 분자진단검사센터 설립 등 유라시아 지역으로 사업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2015년 설립된 MPK는 감염병 관련 해외거점 진료소와 검사소 직영사업에 성공했으며, 2018년부터는 카자흐스탄 알마티 시에 외래종합병원과 수탁 검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 3월에는 카자흐스탄 코로나19 분자진단 국가 검사기관으로 지정됐다.
KT는 2015년 메르스(MERS) 사태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질병관리청과 협력해 통신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의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인 '글로벌 감염병 대응 플랫폼(GEPP)'을 개발했다.
KT는 GEPP 기반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 이후 변화될 의료 환경에서 ICT를 활용한 디지털∙바이오 헬스를 미래 전략 중 핵심으로 꼽았다. 이를 위해 국내 보건∙의료 전문기관들과 협력해 첨단 ICT 기반 헬스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의료 환경이 열악하지만 시장 잠재력을 보유한 해외 중진국을 중점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채희 KT AI/BigData사업본부장(상무)는 "KT의 핵심역량인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바이오 헬스 사업의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하게 됐다"며 "현지 거점 구축과 의료협력 생태계 조성을 통해 대한민국 의료분야 강소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3월 사물인터넷(IoT) 솔루션기업 세이프티랩, 헬스케어기기 기업 다우코리아와 '플라스마 공기 살균기 활용한 헬스케어 시범 사업'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요양 시설 등 노인 관련 시설의 기기를 관리하는 '실버 헬스케어' 솔루션 구축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