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성 국가채무 4년 새 78%↑…국책연구원 "신용등급에 악영향 우려"

입력 2020-10-19 09: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로나19 비상 상황 고려해도 과도"

▲적자성 국가채무 전망 추이. (기획재정부)
국책연구원이 국가채무가 급증하고 있다며 국가신용등급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더욱 클 수 있다고 우려하는 보고서를 내놨다.

19일 김우현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재정포럼 9월호에 게재한 '2021년 예산안 및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 평가 보고서에서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반영된 경상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의 지속적인 증가는 현재의 특수한 환경을 감안하더라도 가파르다"고 지적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중기시점에도 국가채무 증가 속도는 완화되지 않으며 채무의 내용도 좋지 않다"고 우려했다.

특히 대응 자산이 없어 조세 등을 통해 상환해야 하는 적자성 채무가 급증하고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2024년 적자성 채무 전망치는 899조5000억 원이다. 2020년 전망치(506조9000억 원)와 비교하면 불과 4년 만에 77.5% 급증한다는 의미다.

김 부연구위원은 "고령화·사회안전망 확충으로 의무지출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강한 재량지출 구조조정이 수반되지 않으면 다음 세대의 재정운용 폭이 그만큼 줄어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가채무 수준이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주체의 의사결정에 참고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가채무가 약 30% 증가하면 (신용평가기관이)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낮춘다. 특히 국가채무 증가 속도가 빠른 경우 신용등급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더욱 클 수 있다.

실제로 국제신용평가기관 피치는 지난 2월 2019~2023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제시된 한국의 국가채무 예상 수준이 중기적으로 신용등급에 의미 있는 압박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김 부연구위원은 "코로나19에 대한 단기적 대응과 더불어 한국판 뉴딜 추진에 따른 중기 재정 지출로 재정 건전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예산 사업을 좀 더 신중하게 설계하고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