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경제성장, 군사 긴장 초래…중동·동남아, 공격적 무기 구입

입력 2020-11-01 18: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우디, 2010년대 무기 수입 2000년대의 6.6배
동남아 각국, 남중국해 갈등 배경으로 국방력 강화 나서

▲아랍에미리트(UAE) 알다프라 공군기지에서 작년 8월 5일(현지시간) 미 공군 F-35 전투기 조종사와 정비원들이 임무에 나설 준비를 하고 있다. 알다프라/AP뉴시스
중동과 동남아시아 등 신흥국 경제성장이 뜻밖의 군사적 긴장을 초래하고 있다. 신흥국들이 경제 고속성장에 두툼해진 지갑을 바탕으로 군비 증강에 나서면서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고 지역 정세 불안정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고 1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진단했다.

미국과 구소련이 이데올로기 전쟁을 바탕으로 동서 양 진영을 지원했던 냉전 시대와 달리 현재는 주요 무기 수출국이 경제적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와 카타르는 미국의 최신예 전투기 F-35 수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전투기는 레이더가 탐지하기 어려운 스텔스 성능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한국과 일본 등 미국의 우방국이 도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다수가 부유한 중동 국가들이 우리의 전투기를 사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카타르는 2010년대 무기 수입액이 2000년대에 비해 15.6배, 사우디아라비아는 6.6배 각각 급증했다.

중국과의 남중국해 영유권 갈등을 배경으로 동남아 각국도 현저하게 군사비 지출을 늘리고 있다. 베트남은 무기 수입 규모가 6.7배, 인도네시아는 2.5배 각각 증가했다.

인도·태평양 주변에서 경제성장을 이룬 신흥국이 그 과실을 군비로 향하는 구도가 선명해졌다고 닛케이는 평가했다. 2018년 국방비가 10억 달러(약 1조1300억 원) 이상인 68개국은 2009년과 비교하면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늘어난 국가일수록 군사비 지출을 늘리는 경향이 있다. 일례로 인도네시아는 이 기간 GDP가 81% 증가했지만, 군사비 지출은 2.3배 급증해 경제성장률을 초과했다. 무기의 하이테크화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구매력이 있는 인접 국가끼리 앞 다퉈 고급 장비 도입을 서두르면 그만큼 군사적 긴장이 높아진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아울러 이들 시장을 공략하는 미국과 러시아 등 주요 무기 수출국의 움직임도 활발해졌다. 2010년대 후반 글로벌 무기 수출은 1990년대 이후 가장 큰 규모여서 냉전 종결 전 수준에 필적한다.

그러나 그 내용은 냉전 시대와는 크게 다르다. 미국과 구소련의 1950~80년대 무기 수출 대상국 상위 국가들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와 바르샤바조약기구에 속한 곳이었다. 그러나 90년대 이후로는 인도·태평양 지역이 중심이다.

미국은 과거 이스라엘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아랍권 국가로의 최신 병기 수출을 억제했지만, 사우디가 90년대 이후 최대 무기 수출 대상국이 되는 등 중동에 공을 들이고 있다. 동맹국인 한국과 호주, 일본도 상위권이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직접 관여해 부담을 지기보다 무기를 수출해 동맹국 능력을 높이려 한다고 풀이했다.

러시아도 아시아와 북아프리카 신흥국 무기시장 공략에 초점을 맞춘다. 1990년대 후반 러시아 무기 수출 규모는 구소련 당시 정점의 20% 수준까지 줄었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무기 수출 창구를 일원화해 공세를 걸고 있다.

그밖에 한국이 인도네시아 잠수함을 수주하고 첨단 기술에 강한 이스라엘도 역량을 키우는 등 무기 수출국으로 성장한 신흥 세력도 눈에 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중국은 자국의 군 현대화를 우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군 현대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중국이 가까운 장래에 저렴한 가격으로 이전 세대 무기의 대량 수출을 도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