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미국의 선택] '바이든 당선 유력'…반도체 업계 영향은?

입력 2020-11-05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치열한 대접전 끝 바이든 당선 유력
반도체업계 “중국 견제 지속할 것”
국내 기업 비메모리 반사이익 전망
거대 IT 기업 규제는 잠재적 위험요인

초유의 대접전이 펼쳐진 미국 대선 판세에 반도체 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조 바이든 후보의 당선이 점쳐지자 관심이 쏠린 곳은 미ㆍ중 갈등 향방이다.

올해에 이어 내년까지 스마트폰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 중 하나로 미국 정부의 화웨이 제재가 꼽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업계에선 바이든 후보가 당선된다 해도 대중국 견제는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화웨이 제재 강도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도 지배적이다. 다만 대형 IT 기업을 향한 반독점 규제 기조가 잠재적인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동시에 나오고 있다.

“반도체는 안보 문제”…바이든 체제서도 중국 견제 이어질 듯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가 4일(현지시간) 델라웨어주 윌밍턴 체이스센터에서 연설을 하기 위해 마스크를 벗고 있다. 윌밍턴/AP연합뉴스

5일 국내 복수의 경제·산업 연구기관이 작성한 미국 대선 후보별 당선 시나리오 역시 비슷한 시각을 보인다. 일단 조 바이든 후보가 당선된다고 해도 탈중국 정책은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산업연구원은 이달 초 발표한 보고서에서 “(바이든 후보가 당선되면) 트럼프 정부가 지속해 온 대중국 견제와 첨단 제조업 중심의 미국 내 가치사슬 재구축 정책 기조는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반도체 산업에 있어서 이러한 기조는 더욱 뚜렷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이 반도체 산업을 경제 논리가 아닌, 안보 문제에서 접근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에는 화웨이 제재를 비롯한 중국 견제 고삐를 놓지 않을 것이라는 논리도 담겨있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상무는 “경제나 통상 문제라면 당선자에 따라 변동이 클 수 있지만, 미국에 반도체 기술은 경제 문제가 아닌 안보 문제”라며 “안보는 모든 국가에서 가장 민감하게 생각하는 사안인 만큼 바이든 후보가 당선된다 해도 (현재 기조에서)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결국, 국내 기업들이 제출한 화웨이 수출 허가에도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와 삼성ㆍLG디스플레이를 비롯한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미국 상무부에 화웨이 수출에 관한 특별허가를 신청한 상태다. 그러나 현재 허가를 취득한 기업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유일하다.

화웨이 허가 안 나와도 피해 적다…비메모리 반사이익↑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테크놀로지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그러나 허가를 계속 받지 못한다고 해도 국내 반도체 산업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안 상무 역시 “오히려 3분기 말 화웨이의 칩 사재기로 국내 기업이 좋은 실적을 거뒀고, 4분기 넘어오면서 화웨이 점유율을 뺏고자 하는 중화권 경쟁업체가 사재기 행렬에 뛰어든 상태”라고 강조했다.

금융투자업계 화웨이 제재가 계속 이어지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이미지센서(CIS) 등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에서 국내 기업 점유율이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최근 자체 AP인 엑시노스에 대한 중화권 고객사 유치에 힘쓰는 등 화웨이 제재를 틈타 시장 장악력 확대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IT 공룡' 규제 기조는 D램 수요에 영향 줄 수도

다만 바이든 후보가 당선될 경우 또 다른 변수로 떠오르는 건 IT 시장에 대한 규제 강화다.

규제가 강화되면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업체인 ‘하이퍼스케일러(hyperscaler)’들의 D램 투자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는 논리다.

바이든 후보를 비롯한 민주당 주요 인사들은 IT 공룡들의 독점적 지위를 타파해야 한다고 줄곧 주장하고 있다.

이달 초 미국 하원은 구글과 애플ㆍ페이스북ㆍ아마존 등 '빅4' 테크 기업을 독점 기업으로 규정하며 기업 분할 등을 권고했다. 바이든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관련 논의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정성공 옴디아 수석연구원은 내년 D램 시장의 변수 중 하나로 미국 대선을 꼽으면서, “만약 거대 IT 기업이 분할되는 상황을 가정하면, 지금까지 해오던 규모의 서버 투자를 지속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