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은 부실 채권 처리 수단으로 활용
27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올해 중국 인터넷 경매에 출품된 부동산은 49만 건을 넘었다. 이는 5년 전보다 5배 급증한 것이다.
낙찰 경쟁도 치열하다. 상하이 서쪽의 180㎡ 규모 주택은 지어진 지 20년이 됐지만, 응찰 건수가 90건에 달했다. 낙찰가는 1595만 위안(약 26억9268만 원)으로, 경매 시작가인 1085만 위안에서 50% 가까이 상승했다.
인터넷 부동산 경매가 인기를 얻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우선은 주택 구매 건수에 제한이 없어 부유층의 투자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중국은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기 위해 2016~2017년 주요 대도시에서 1인당 주택 구매 건수를 제한했다.
부동산을 사들이는 대신 일정 기간 사회 보험료를 내야 하고, 가구마다 보유 주택 수에 상한선이 있다.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며 최근 들어 빠르게 성장한 선전시는 후커우(호적)를 취득한 뒤 3년이 지나야 주택을 사들일 수 있고 가족은 2채, 독신자는 1채로 제한하는 등 강도 높은 규제를 펼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부동산 규제에도 불구하고 부유층은 부동산 투자 의욕이 높다. 해외 투자에 엄격한 제한이 있어 투자금이 있어도 갈 곳을 찾지 못한 경우가 많은 탓이다. 여기에 금융 당국이 경매 수요를 높이기 위해 인터넷 경매 시장에는 상한선을 두지 않아 시장 활성화에 기름을 부었다.
인터넷 부동산 경매는 은행의 부실 채권 상쇄 수단이기도 하다. 중국 시중은행이 보유한 부실 채권은 올해 9월 말 기준 2조8000억 위안을 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증가한 것이다. 요주의 채권으로 분류되는 것도 3조8000억 위안이나 된다. 담보 대출로 부동산을 취득한 은행은 이를 처리해 부실 채권을 줄이려 하고 있다.
금융 당국은 은행의 부실 채권 처리에 부심하고 있어 인터넷 부동산 경매를 굳이 제한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중국 은행보험관리감독위원회는 연간 3조4000억 위안의 부실 채권을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2조3000억 위안 규모의 1.5배에 해당한다. 당국이 은행에 중소·영세 기업의 자금 지원을 지시한 만큼 당분간은 부실 채권의 출구로 인터넷 경매를 활용하는 사례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 밖에도 경매를 이용하면 시장 가격보다 저렴하게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다는 점도 투자자들이 경매에 몰리는 이유 중 하나다. 상하이와 베이징, 선전 등 인기가 높은 대도시의 물건을 구할 기회라는 점도 매력적이다.
알리바바그룹홀딩이 운영하는 쇼핑몰 ‘타오바오’는 인터넷 경매 시장 점유율이 높다. 타오바오는 2012년부터 법원 경매를 진행하며 부동산과 자동차뿐만 아니라 파산한 기업의 생산 설비와 재고, 상표권 등을 출품해왔다.
다만 닛케이는 “대도시가 아닌 지방에서는 경매가 낙찰되더라도 1% 정도가 철회된다”며 “인터넷 경매가 부실 채권을 해결할 비장의 카드라고 생각하는 것은 경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