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소셜미디어 업체들이 트럼프 대통령에 재갈을 물리고 있다. 페이스북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계정을 임기가 끝날 때까지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올린 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남은 임기 동안 평화로운 정권 이양을 흔들 수 있다”면서 “대통령에게 우리의 서비스를 계속 쓰도록 하는 건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트럼프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계정에 전날 부과한 차단 조치를 평화적 정권 이양이 이뤄질 때까지 연장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위터도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의 의사당 난동 이후 트럼프 대통령 계정을 12시간 차단한 바 있다. 트럼프가 선거 불복 주장을 계속하고 폭력을 조장한다는 이유에서다. 트위터는 성명을 내고 상황을 계속해서 평가,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지 판단하겠다고 밝혀 트럼프 계정의 영구 정지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스냅챗도 트럼프 계정에 대한 접근을 막았고 유튜브도 규제를 강화,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관련 거짓 주장 차단에 나섰다.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트위치도 트럼프 계정을 정지시켰다.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계정을 차단하는 ‘고강도’ 제재에 나섰지만 여론은 싸늘하다. 잘못된 정보 확산을 방관한다는 비판에도 트럼프 임기 내내 뒷짐을 지고 있었던 탓에 화를 키웠다는 이유에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 내내 폭풍 트윗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팔로워만 8800만 명이 넘는다. 페이스북에도 3500만 명을 팔로워로 거느리고 있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상당 규모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임기 내내 자신의 목소리를 내왔던 트럼프는 지난해 11월 대선 패배 이후부터는 대선 불복과 사기 주장을 쏟아냈다.
트럼프 지지자들은 지난 몇 주간 페이스북에서 공격 목표가 무엇인지 공개적으로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8000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레드스테이트세션(Red-State Secession)’이라는 페이지에서는 자신들이 ‘적’으로 간주한 의원, 판사들의 집 주소를 공유했다.
급기야 미국 상·하원 합동 회의가 열리기 전날 한 게시글에서는 ‘무력 사용을 준비하라’는 글도 올라왔다. 해당 게시글에는 공격용 소총과 탄약 등 무기 사진들이 댓글로 달렸다.
비판가들은 민주주의의 심장부가 시위대에 점령당한 배경에 소셜미디어의 왜곡된 표현의 자유가 자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그들 스스로를 ‘표현의 자유’와 ‘여론 형성’ 수호자로 위치시켜 왔다. 그러면서 말할 자유를 보장하는 게 공공의 이익에 부합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잘못된 정보와 유해 콘텐츠는 표현의 자유와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너선 그린블랫 반명예훼손연맹 대표는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태만했다”면서 “표현의 자유는 폭력 선동의 자유가 아니다. 이는 보호받아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전날 벌어진 충격적인 사태는 사실상 소셜미디어 기업들의 ‘자업자득’이라고 일갈했다.
반면 다른 목소리도 있다. 일부 우파는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보수 인사들을 겨냥, 검열을 하고 있다고 비난한다. 트위터는 트럼프 법률팀 소속 변호사인 린 우드의 계정에 대해 음모론을 홍보하고 의회 난동을 부추겼다는 이유로 일시 정지했다. 또 경찰 출신 보수 정치평론가인 댄 본지노의 게시글도 삭제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소셜미디어의 자의적인 제재가 검열로 이어져 상황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한다. 지난해 대선 전 바이든 당선인의 아들 헌터 바이든과 우크라이나 에너지 기업 고문의 부적절한 접촉 관련 뉴욕포스트 기사 확산을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막았다는 비난이 일었다. 그러자 트위터는 기사 URL 차단은 잘못됐다면서 정책을 수정하겠다고 했다.
소셜미디어에 대한 불신이 커질 경우 사용자들이 출구를 찾게 되는데 페이스북과 트위터 대신 ‘팔러’와 ‘갭’ 등 더 선정적인 콘텐츠들이 난무하는 음지로 몰려들 수 있다는 것이다.
잘못된 정보를 추적하는 인공지능 업체 욘더의 조너선 모건 최고경영자(CEO)는 “통제가 안되는 폐쇄 공간에서 극단주의자들이 다루는 정보는 끔찍할 정도”라고 우려했다.
이 같은 공간은 아직 비중이 크지 않지만 점점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횟수가 늘고 있다. 대선 이후 트위터에서 ‘팔러’가 언급된 수만 150만 번에 이른다. 페이스북에서 팔러 관련 게시글에는 수십 만개의 ‘좋아요’가 달린다.
민주주의 확산의 토대를 다졌다고 평가받았던 소셜미디어가 이제 민주주의의 위협이 되고 있다는 비판에 처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