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디지털이 기업 매출뿐만 아니라 산업생태계와도 직결되는 시대가 도래했다. 그러나 인력, 기술 부족 등의 이유로 디지털 전환에 어려움을 겪는 곳이 많아지면서 빈부격차가 심화할 수 있다는 부정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올해 예산은 전년 대비 26% 증가한 16조8000억 원이다. △스마트공장 인프라 구축에 전년 대비 15% 늘어난 2조1000억 원 △비대면 분야 혁신 벤처ㆍ스타트업 집중 육성에 22% 증가한 1조6000억 원 △중소기업의 비대면 수출지원을 위해 16% 증액한 2703억 원 등을 편성했다.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경제 회복에 나설 계획이다.
정부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기업은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이해도와 활용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산업경제원 조사에 따르면 정보와 인력 부족, IT(정보통신)ㆍ보안과 같은 기술투자가 부재한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의지가 낮았다. 특히 기업 규모가 클수록 디지털에 대한 숙련도가 높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격차도 큰 것으로 조사됐다.
조영삼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디지털 전환은 중소기업에 기회의 창이 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론 생존을 위협할 수도 있다”며 “많은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실행하기에는 여건과 역량 면에서 미흡하고 소규모일수록 성장 소외 위험성, 혁신 지체에 직면할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수출 중소기업의 경우 전체 응답자(1207개사) 중 47.2%가 디지털을 통한 수출 경험이 전혀 없었고, 24.1%는 당분간 활용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규모별로는 연간 수출 기준 100만 달러 이하 기업(76.4%)보다 초과 기업(81.8%)에서 디지털 활용이 더 높았다. 제조 중소기업도 규모가 작을수록 미흡했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전환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낮추고 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규모가 영세한 소상공인, 뿌리 산업이나 전통 제조업, 혁신역량을 보유한 기업 등 디지털 전환 타깃을 명확히 해 맞춤형으로 지원해야 한다”며 “중소기업 재직자에 정보통신기술(ICT) 기본교육을 강화하는 등 실질적으로 인적 자원이 디지털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 격차를 줄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