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실장 인사서 사무소장 공석으로
금감원 “아직 정해진 것 없어”
2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전날 발표한 국실장 인사에서 홍재필 워싱턴사무소장을 인적자원개발실 소속으로 배치했지만, 워싱턴사무소장으로의 인사는 실시하지 않았다. 해외사무소 중 유일하게 소장 자리를 공석으로 둔 것이다.
금감원은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사실상 폐쇄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다음달 팀원 인사 때 사무소장 없이 주재원만 남겨놓을 가능성은 있다.
금감원이 워싱턴사무소 폐쇄 수순에 들어간 건 감사원의 지적 때문이다. 금감원은 해외 감독당국과의 업무 협조와 금융동향·감독제도 등 정보수집을 목적으로 해외 네트워크를 확대해 왔지만, 감사원은 비효율적으로 봤다. 금감원 해외사무소의 주요 업무인 정보수집은 국내에서 언론·인터넷을 이용하거나 해외출장을 통해 충분히 수집 가능하다는 게 감사원 판단이다.
첫 제동은 지난 2017년 감사 때다. 이에 금감원은 2019년 5월 홍콩사무소를 폐쇄하고, 추진 중이던 싱가포르사무소 신설 계획도 백지화했다. 하지만 감사원은 지난해 발표한 ‘금융소비자 보호시책 추진실태’ 보고서에서도 금감원의 해외 네트워크 축소를 요구했다.
감사원은 워싱턴사무소에 대해 “국내 금융기관 해외점포 25개가 소재한 뉴욕에 금감원 현지 사무소가 있는데, 해외점포가 한 곳도 없는 워싱턴에 사무소를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워싱턴 소재 한국대사관에 기획재정부 출신 재경관이 배치돼 있고, 역시 워싱턴 소재 미국 통화감독청과 세계은행에 2명의 금감원 직원이 파견된 만큼 “기능이 중복된다”고 평가했다.
다만 금감원 내부에선 잇딴 해외사무소 축소에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해외사무소는 단순 정보수집뿐만 아니라 현지 감독당국과의 교류 협력 역할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홍콩사무소 폐쇄로 2019년 홍콩 시위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이 이어졌지만 금감원은 관련 정보를 중국 북경사무소나 언론보도로만 확인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1조 원이 넘는 채권형 펀드의 환매를 중단한 홍콩계 사모펀드인 젠투파트너스 조사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홍콩사무소가 있었다면 판매사들의 현지 지점들과 공동으로 조사에 들어갈 수 있을 수도 있었던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