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기관마다 점수 차이 커… IFRS와 같은 글로벌 표준 필요
다만 평가 기관마다 기준도 다르고, 등급 차이도 천차만별인 경우가 많아 혼란을 낳고 있다. 표준화된 ESG 평가 기준을 만들어야 기업과 투자자, 소비자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4일 현재 국내에서 ESG를 평가하고 등급을 매기는 기관은 한국기업지배구조연구원(KCGS), 대신경제연구소, 서스틴베스트 등이 있다. 해외의 경우 대표적으로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톰슨 로이터 등이 꼽힌다.
이들 평가기관은 대부분 ESG 등급이 필요한 기업에 평가항목 질의서를 보낸 뒤 답변을 근거로 등급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공통 기준이 없는 만큼 평가는 다를 수밖에 없다.
대기업 한 관계자는 “ESG 평가 기관마다 기준에 맞게 자료를 제출하고 있지만, 기준이 다르다 보니 등급 차이도 빈번하다”라며 “실무에선 중복 업무가 발생하기도 한다”라고 말했다.
오뚜기, SK하이닉스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된다. MSCI는 2019년 S(사회) 부문 평가에서 국내 식품기업 오뚜기에 최고 등급인 A를 줬다. 하지만 같은 기간 톰슨 로이터는 이 회사에 C-등급을 부여했다. SK하이닉스는 2019년 MSCI의 E(환경) 부문 평가에서 C등급을 받았지만, 톰슨 로이터 평가는 B+등급이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MIT 연구 결과 ESG 평가기관들의 동일 기업에 대한 점수 일치도는 61%밖에 되지 않는다. 기존 신용평가 시장에서는 일치도가 99%인 점을 고려하면 괴리가 크다.
국내 ESG 평가 기관 관계자는 “평가대상인 기업들뿐만 아니라, ESG 평가 기관들에서도 평가 체계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보다 ESG에서 앞선 해외에서도 현재 협의체 구성 등을 통한 체계 표준화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고 했다.
장지인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한국위원회 위원장은 “ESG 관련 투자 시장이 커지고 있는데, 가장 큰 문제는 ESG 정보가 재무회계보다 신뢰가 부족하다는 점”이라며 “난립하는 ESG 평가 기관 및 기준을 예컨대 IFRS와 같이 국제표준을 제정하면 신뢰성을 제공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