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실태조사, 연고지 이주 57.6%·준비기간 26개월
귀농 5년 차가 되면 기존 소득의 약 90% 수준까지 회복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 준비 기간은 평균 26개월이며,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돌아가는 유형이 가장 많았다.
농림축산식품부가 24일 발표한 '귀농·귀촌 실태조사'에 따르면 귀농 5년 차 가구의 연평균소득은 3660만 원으로 집계됐다. 귀농 전 연평균소득은 4184만 원으로 약 87.5% 수준이다.
귀농 1년 차 가구소득은 2782만 원으로 기존 소득의 절반을 넘는 수준이지만 5년이 되면 약 90%까지 올라선다는 의미다.
도시에서 농촌으로 갔지만,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 귀촌의 경우 5년이 되면 더 높은 수준까지 올라갔다. 귀촌 1년 차 가구소득은 3436만 원으로 귀촌 5년 차가 되면 3667만 원까지 올라 귀촌 전 가구소득 3932만 원의 92.2% 수준으로 회복했다.
귀농 이후 농업생산활동 외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는 절반을 차지했다. 소득을 올리기 위해서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일반직장 취업이 26.6%, 임시직 21.3%, 자영업 19.1% 순이었다.
귀농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184만 원으로, 귀농 전(269만 원)의 68.4% 수준이었다.
귀농 준비에 걸린 시간은 평균 25.8개월로, 전년 준비 기간 25.1개월에서 소폭 증가했다. 귀농 준비 활동은 정착 지역 탐색(42.2%), 주거·농지 탐색(29.3%), 귀농 교육(12.2%), 자금 조달(11.5%), 귀농 체험(1.7%) 등이었다.
귀농·귀촌 유형은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U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농촌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J형,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I형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에서 우려되는 요소인 일명 '텃세'와 관련해서는 귀농 이후 지역 주민과 관계가 좋다는 응답 비율이 74.6%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 주민과 관계가 좋지 않다는 응답은 2.4%로, 지역 주민의 선입견과 텃세(51.2%), 생활 방식에 대한 이해 충돌(17.2%), 집·토지 문제(12.5%), 영농 방식의 차이(7.0%), 마을 일이나 모임 참여(2.4%) 등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귀농·귀촌 이후 만족한다는 응답은 귀농 62.1%, 귀촌 63.3%, 보통이라는 답변은 귀농 33.1%, 귀촌 35.4%로 대부분 높게 나타났다. 불만족인 경우 영농기술·경험 부족, 자금 부족이 주된 이유인 것으로 조사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도시민의 관심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고객층의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며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에는 지역 밀착형 체험‧정보 제공 강화, 농업 일자리 연계 교육 확대 등 귀농‧귀촌 희망자의 사전 준비와 적응력 강화를 중점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제1차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이 마무리되는 올해 안으로 제2차(22~26년) 종합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해 10∼12월 귀농·귀촌 가구 4066가구를 대상으로 한국갤럽의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