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액의 항공기 리스비 감당할 수 없어…향후 반납 행렬 가속화될 듯
우리나라 국적 항공사들이 연초부터 항공기를 연이어 반납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여행 수요 감소로 매출이 대폭 줄어들면서 거액의 고정비를 낼 수 없는 상황에 부닥쳐있어서다.
정부가 최근 항공업계 지원책을 발표했지만, 항공사들이 정상화 궤도에 오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7일 항공안전관리시스템 및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날 누적 기준 올해 말소된 민간항공기는 11대이다.
11대 중 8대는 국적 항공사들이 반납했다. 진에어와 플라이강원은 각각 4대, 2대 반납을 완료했다. 제주항공, 이스타항공은 1대씩 반납했다.
작년 같은 기간 아시아나항공만 1대의 비행기를 반납한 것과 비교했을 때 항공사들이 이른 시일에 비행기 규모를 줄였다.
제주항공과 플라이강원은 리스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단 규모를 줄였다. 파산 위기에 몰린 이스타항공은 리스비를 감당하지 못해 비행기를 반납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진에어는 “계약 기간 만료 따라 비행기를 반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다른 항공사들과 달리 1대의 비행기를 도입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임차 기간이 만료된 항공기를 반납할 것으로 보인다.
항공사들의 비행기 반납은 계속될 전망이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하면서 항공사들이 주기료(항공기 주차료)와 리스비 등 고정비를 감당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3분기 기준 제주항공이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리스 부채만 1414억 원이다. 진에어(1100억 원), 에어부산(890억 원) 등 다른 항공사들의 리스 부채도 수백억을 넘는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는 지난달 사보를 통해 “현재 시황을 고려할 때 기단 축소는 불가피하다”며 “코로나19로 인해 위축된 시장 회복 속도와 기단 유지에 따른 고정비를 고려해 임차 기간이 만료되는 기재는 상당수 반납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항공업계에 대한 전망이 여전히 어둡다는 점도 이유다.
한국교통연구원 한재현 연구위원은 “항공 여객 수요가 회복되는 시점은 일러야 내년 초”라고 분석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올해 여객 수요가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9년과 비교해 50% 수준이라고 내다봤다. 주요 국가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됐지만, 항공 시황이 개선될지는 미지수이다.
항공사들이 벼랑 끝에 몰리자 정부는 추가 지원책을 시행한다.
우선 저비용항공사(LCC)에 2000억 원 자금을 지원한다. 나아가 우리나라 국적기가 외국 승객을 싣고 우리나라 상공을 선회하고 다시 돌아가는 외국인 무착륙 관광 비행을 허용한다.
방역 우수국가와의 트레버 버블(비격리 여행권역)도 추진한다. 공항시설사용료 감면 기간은 6월 말까지 연장한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정부 지원으로 항공사들은 잠시나마 숨통을 틜 수 있게 됐다”며 “그럼에도 항공사들은 생존을 위해 다른 방안을 계속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