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덕찬 지속가능발전소 대표 “오염된 데이터가 ESG를 망친다”

입력 2021-03-29 14:24수정 2021-03-29 15: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윤덕찬 지속가능발전소 대표.

환경·사회·지배구조(ESG)정보는 ‘포장’보다 ‘축적’이 중요하다

윤덕찬 지속가능발전소 대표는 이투데이와 인터뷰에서 “ESG 정보는 기업의 리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척도”라며 “잘 꾸민 지속가능 보고서보다 핵심 리스크에 대해 축적해온 ESG 정보가 더 중요한 시대가 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표는 ‘ESG 정보 수집가’다. 뉴스, 공개된 경영정보 등을 바탕으로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준수 여부를 인공지능(AI)으로 파악해 ESG 정보를 시장에 제공한다. 비재무적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기업 부실징후까지 파악하는 기업여신평가 모델도 조언한다.

주로 빅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활용한다. 기존 ESG 평가 방식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다. 즉, 기업들이 제출한 설문지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 이를 악용하는 기업들도 늘어났다는 지적이다. 최근 ESG 정보 수요가 커지자 이른바 ‘모범답안 컨설팅’도 성행하고 있다.

윤 대표는 “주로 ESG 평가 점수를 높게 받을 수 있는 ‘답변 기술’을 알려주는 방식이다. ESG 점수가 높아야 기업들도 투자 유치를 받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라며 “이런 환경에선 ‘오염된 ESG 데이터’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현실을 꼬집었다.

이어 “왜곡된 자료를 토대로 평가하다 보니 정작 리스크가 많은 기업이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선정되는 결과도 발생했다. 이걸 믿고 투자하는 사람들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며 악순환을 우려했다.

그는 이런 한계일수록 ‘공공 데이터’의 역할이 커질 수 있다고 말한다. 기업 공시도 중요하지만 일단 기업으로부터 받지 않은 정보 역시 뒷받침해줘야 한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 2015년 윤 대표는 고용노동부에 ‘산업재해 현황’ 데이터 제공을 신청했다.

기업인을 처벌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다. 기업이 얼마큼 ‘안전투자’를 확대해 중대재해를 최대한 예방하는 데 노력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다. 하지만 고용노동부가 “산재 데이터는 통계자료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회사명을 공개하지 않았다. 두 기관의 분쟁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최근 사회책임투자업계에서도 ESG 정보를 위해 ‘산업재해 데이터’를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국민연금도 ESG 지표 중 ‘산업안전’ 이슈에 대해 보건안전시스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외부인증, 산재다발사업장 지정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공공 데이터는 국민의 세금으로 만들어진 정보다. 공무원만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가 아니어야 하는 이유”라며 “투자자, 시민사회, 노동자 등 이해관계자들이 용이하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유럽 등 ESG 정보 공시만으로도 원·하청 구조개선 등 사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ESG 정보는 ‘예쁜’ 결과 값을 위한 목적이 아니다. 부정적 사항이라도 기업들이 지속해서 시장에 보고하면서 리스크를 관리하도록 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