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대 기업 CEO 10명 중 7명 "ESG 경영 관심 높아"

입력 2021-04-05 11:00수정 2021-04-05 18: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0명 중 3명 "모호한 범위ㆍ개념에 ESG 경영전략 수립 어려워"

주요 기업의 최고경영자 10명 중 7명은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경영에 관심이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개념이 모호하고 기관마다 평가방식도 달라 ESG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벌인 'ESG 준비실태 및 인식조사'에서 ESG에 대한 최고경영진의 관심도는 66.3%(매우 높다 36.6%, 다소 높다 29.7%)였다고 5일 밝혔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석유화학ㆍ제품, 철강, 반도체, 일반기계ㆍ선박, 디스플레이ㆍ무선통신기기, 건설, 숙박ㆍ음식업 등에서 높은 관심을 보였다.

경영전략을 수립할 때 어려운 점을 묻는 말에는 응답자의 29.7%가 'ESG의 모호한 범위와 개념'을 꼽았다.

그밖에 자사 사업과 낮은 연관성(19.8%), 기관마다 다른 ESG 평가방식(17.8%), 추가비용 초래(17.8%), 지나치게 빠른 ESG 규제도입 속도(11.9%) 등이 지적됐다.

ESG 경영의 구체적인 연간목표 수립 여부를 묻는 말에 대해서는 31.7%가 '수립했다', 39.6%는 '수립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반도체, 석유화학 업종은 모든 응답 기업이 이미 수립을 완료했거나 수립 예정이라고 답했다.

ESG 위원회 설치 여부에 대해서는 45.5%가 설치(17.8%)했거나 할 예정(27.7%)이라고 답했다.

위원회 구성원의 경력은 전직 기업인(24.1%), 회계 전문가(20.7%), 교수(13.8%), 전직 관료(6.9%) 순이었다.

별도 ESG 전담조직이 있는지 묻는 말에는 53.5%가 이미 마련(23.8%)했거나 마련할 계획이 있다(29.7%)고 답했다.

다만, 관련 전문인력 채용계획에 대해서는 8.9%만 채용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건설, 디스플레이ㆍ무선통신기기, 반도체, 도소매업 일부 기업에서 관심을 보였다.

(출처=전경련)

ESG가 필요한 이유로는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라는 응답이 많았다.

세부적으로는 '기업 이미지 제고 목적' 43.2%, '국내외 수익에 직결되기 때문' 20.8%, 'ESG 규제부담 때문' 18.0%, '투자자 관리(개인‧기관)를 위해' 15.3% 등 순이다.

ESG에 따른 매출액 증감 전망치에 대한 질문에는 '차이 없다'는 응답이 33.7%, '0~5% 증가' 25.7%, '5%~10% 증가' 17.9% 순이었다.

전경련 관계자는 "다만 ESG 경영을 추진하면서 관련 투자 등 추가적인 비용 소요가 불가피한 관계로 수익에 대한 효과는 매출 증대 전망과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사회 분야 활동의 주요 대상으로는 소비자(31.7%)를 많이 꼽았다. 그 뒤로 지역사회(19.8%), 근로자(18.8%), 협력사ㆍ경쟁사(16.8%), 일반 국민(12.9%) 순이다.

업종별로 보면 운수ㆍ창고업, 숙박ㆍ음식업, 도소매업에서 소비자라는 응답이 많았지만, 철강, 일반기계ㆍ선박, 반도체 업종에서는 근로자라는 응답이 많았다.

환경 부문의 주요 관심 분야는 환경친화적 생산(26.7%), 기후변화 대응(25.7%), 환경 리스크 관리(21.8%), 환경친화적 공급망 관리 (16.8%) 등 순이었다.

정부가 발표한 '2050 탄소 중립 추진전략'과 관련한 준비 정도를 묻는 말에는 보통이다(37.6%), 비교적 잘 준비됐다(21.8%), 잘 모르겠다(17.8%), 미흡하다(12.9%), 매우 미흡하다(6.9%), 매우 잘 준비됐다(3.0%) 순으로 응답했다.

업종별로 철강, 디스플레이ㆍ무선통신기기는 비교적 잘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석유화학ㆍ제품, 숙박ㆍ음식업, 일반기계ㆍ선박 업종 등에서는 준비가 미흡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탄소 중립 준비 사업으로는 대기오염물질 저감설비 및 관리시스템 개발(31.7%), 재생에너지 전환 투자(15.8%),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연료전환(12.9%), 전기 배터리 소재 투자(7.9%) 등을 꼽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경련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한 기업은 101곳으로 응답률은 20.2%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