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사업주와 근로자 간 경영성과를 공유하는 ’중소기업과 근로자 간 성과공유제‘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상시 모집한다고 5일 밝혔다.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경영성과급, 임금수준 상승, 성과보상공제 등의 7가지 성과공유 유형 중 하나의 방법으로 근로자와 성과를 공유하고 있거나 공유하기로 약정한 후 ‘중소기업인력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중기부는 중소기업과 근로자 간 성과공유 문화 확산을 위해 현재 5만5972개 성과공유 도입기업을 2022년까지 10만 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대기업 젊은 직원(MZ세대)을 중심으로 성과급의 공정성과 투명성 논쟁이 확산하고 있다. 이는 대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며 중소기업들도 당면한 문제로 ‘중소기업과 근로자 간 성과공유제’가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성과공유에는 경영성과급, 임금수준 상승, 우리사주제도, 주식매수선택권, 성과보상공제, 사내근로복지기금, 기타(인재육성형 중소기업 지정 등 9개 정부지정․인증제도)로 총 7가지 유형이 있다.
최근 성과공유제를 도입한 중소기업 실태조사(2020년 10월 기준 1837개사)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은 성과공유제가 신규인력 채용, 장기 재직 유인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72.0%가 응답했다.
실제 중소기업 현장에서는 성과공유제가 중소기업의 임금 여건을 개선하고 기업의 경영 성과를 높이는 데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핀테크 스타트업 센트비 최성욱 대표는 “6개월 이상 재직자 전원에게 스톡옵션 부여하고, 청년내일채움공제 대상에 해당하는 전 직원 공제가입, 매년 평균 5~7% 임금인상 등 직원들과 성과를 공유하고 있다”며 “성과공유제를 통해 직원들의 실질임금이 상승해 대기업으로의 우수 인재 유출 문제 완화와 재직자 장기근속 유도 등 매년 기업 성장률 2배를 달성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중소기업연구원의 성과공유제 성과분석 결과를 보면 도입한 중소기업(성과공유 도입기업)이 미도입한 중소기업(성과공유 미도입기업)보다 근로자 임금상승 효과, 고용창출, 영업이익 등에서 우수했다.
이번 성과분석은 성향 점수 매칭 방법을 통해 2018년도 성과공유 도입기업(2685개)과 성과공유 미도입기업(2328개)을 비교해 분석했다.
그 결과 성과공유 도입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임금과 상여금, 복리후생비 등의 임금수준이 성과공유 미도입기업의 임금 수준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과공유 도입기업의 근로자 1인당 평균 임금수준은 미도입 기업보다 2018년 730만 원, 2019년에 910만 원이 더 높았다.
성과공유제에 참여한 2018년 이후 성과공유 도입기업과 미도입기업의 근로자 1인당 받는 평균 인건비 격차율은 14% 증가했다. 2018년 대비 2019년에 성과공유 미도입기업의 근로자 1인당 평균 임금수준은 약 140만 원이 감소했지만 성과공유기업은 약 40만 원이 증가했다.
또 성과공유 도입기업이 미도입기업보다 고용창출에 더 긍정적으로 이바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기업의 근로자 수 증가율은 2018년 10.5%, 2019년 11.6%로 같은 기간의 성과공유제 미도입기업은 2018년 7.3%, 2019년 9.5%로 성과공유 도입기업이 2.1~3.2%포인트 더 높았다.
성과공유제 도입 이후 성과공유 도입기업의 평균 영업이익이 성과공유 미도입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도 초과했다. 도입기업의 평균 영업이익은 성과공유 미도입기업보다 성과공유제 도입 첫해인 2018년에는 1600만 원 낮았으나 2019년에는 성과공유제 미도입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보다 2500만 원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기부 정기환 일자리정책과장은 “성과공유제는 대․중소기업간 임금격차 완화와 우수 인재의 중소기업 유입 촉진 등에 기여한다”며 “중소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새로운 중소기업의 성장 모델로 정착되고 있다. 많은 중소기업들이 성과공유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와 인센티브 강화 등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