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금융회의 주재…"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될 리스크 상존"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20일 “금융시장이 상당 기간 저물가·저금리에 적응된 상태인 만큼, 물가·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가 크게 불거지면 시장이 발작적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이 차관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어 앞으로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해나갈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선진국에 비해 신흥국의 경기 회복이 더뎌지는 불균등 회복의 양상이 관찰되고 있어 신흥국으로부터 자금 유출 압력이 확대되며 금융시장에 부정적 여파를 가져올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한다”며 “미·중 갈등, 중동지역의 긴장 고조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가져올 수 있는 충격에 대해서도 꼼꼼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실물경제와 관련해선 “세계 경제 회복에 힘입어 수출·투자를 중심으로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며 “수출은 반도체·석유화학 등 주력품목 호조세 등에 힘입어 5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으며, 투자 역시 정보기술(IT) 부문 중심의 글로벌 제조업 경기 호조, 기업심리 개선 등으로 빠르게 회복 중”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내수의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행 상황이 향후 큰 변수로 작용하겠으나, 최근 3월 소비자 심리지수(CSI)가 14개월 만에 100을 상회하는 등 회복의 기미가 나타나고 있다”며 “3월 취업자 수도 31만4000명 증가해 13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되는 등 경기 회복이 고용 개선으로 일부 이어지는 모습”이라고 부연했다.
금융시장에 대해서도 “글로벌 금융시장의 안정과 국내 경기 회복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그간 빠르게 상승해 온 국고채 금리도 글로벌 금리 하락과 외국인‧보험사의 견조한 수요 등으로 최근 들어 상승세가 다소 진정된 모습”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앞서 말한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요인들이 상존하는 만큼, 국내 금융시장으로의 여파는 물론 우리 경제에 나타날 수 있는 파생적 영향들을 보다 폭넓고 세심히 살펴야 한다”며 “금리 상승이 가져올 수 있는 가계·기업의 부채부담 상승, 원자재 가격상승에 따른 기업부담 증가, 선진국·신흥국 간의 불균등 회복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 파급효과 등이 대표적”이라고 설명했다.
이 차관은 “정부는 개선된 지표에 만족하지 않고, 지표경기와 체감경기의 괴리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경제 회복에 더욱 속도를 내 매진하겠다”며 “추가경정예산 사업 등 재정을 속도감 있게 집행하는 한편, 방역상황과 경기여건을 면밀하게 점검하면서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내수회복 속도를 높이는데 전력을 기울여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