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주성엔지니어링에서 소부장 중소기업 대표들과 위원들이 참여하는 ‘제7차 대ㆍ중소기업 상생협의회’를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7차 회의는 권칠승 장관 취임 후 처음으로 개최되는 회의다. 권칠승 장관은 일본 수출규제(2019년 7월) 이후 정부의 소부장 경쟁력 강화 대책과 소부장 2.0 전략을 올해 중기부 소부장 지원계획과 연계해 현장을 점검했다. 협의회에서는 이차전지 등 4건의 상생모델에 대한 집중 논의가 이뤄졌다.
심의된 총 4건의 상생모델에 대해서는 상생협의회에서 기술개발, 정책자금, 규제개선 등 정부 지원을 건의하기로 의결했다.
이날 중기부는 2021년 소부장 분야 지원계획을 논의했다. 현재 관계부처와 함께 소부장 2.0 전략(2020년 7월) 등을 추진하고 있다. 소부장 유망기업의 창업과 성장, 대ㆍ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등을 지원하고 있다. 2019년부터 시작된 지원을 통해 성공사례들도 나타나고 있으며 일본 등 해외 수입 의존도가 높았던 핵심소재의 국산화, 협력 생태계 구축 등이 이뤄지고 있다.
향후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을 고려해 ‘소부장 강소기업 100’을 올해 하반기부터 추가 선정할 계획이다. ‘소부장 스타트업 100’ 사업은 4월 말까지 올해 지원신청을 접수 받아 20개 창업기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또 중기부와 상생협의회는 소재ㆍ부품ㆍ장비 분야 현장의 수요를 반영해 대ㆍ중소기업 간 자발적인 협력이 이뤄지는 상생모델을 발굴하고 있다. 현재 9건의 상생모델을 정부(소부장 경쟁력위원회)에서 승인받았고, 이번 대ㆍ중소기업 상생협의회에서 상생모델 4건을 추가 발굴했다.
승인된 9건 상생모델(△반도체 3건 △전기전자 3건 △기계금속 3건)은 국산화 성공시 향후 5년간 매출 2000억 원, 투자 370억 원, 고용 270명 창출이 예상된다. 올해부터 승인된 상생모델에 대해 중소기업 기술개발(R&D)사업에 반영해 정책 지정과제로(1개 상생모델 당 최대 20억 원) 진행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상생협의회 등을 통해 향후 50개까지 수시로 발굴할 예정이다.
권칠승 장관은 “최근 코로나19 지속, 미ㆍ중 무역 갈등,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대외환경의 변화로 인해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서라도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적극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목표가 소부장 핵심품목의 기술 자립화 등 ’기술 독립‘ 이였다면 앞으로는 더 나아가 세계를 주름잡는 ’소부장 강국 도약‘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라고 밝혔다.
황철주 대ㆍ중소기업 상생협의회 위원장은 ”상생협의회가 중심이 돼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연결시켜 줌으로써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