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및 유자녀·여성가구 소득 감소가 더 커
전국민재난지원금 등이 소득감소 저지..소득별 불평등 고착 대응필요
저소득층인 소득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 소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20% 가까이 급감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또, 이들 계층의 소득 감소 중 3분의 1은 실업 등 고용충격이, 3분위 2는 일시휴직 등에 따른 소득감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을 유지했지만 소득이 줄어든 계층에서는 대면일자리가 많은 자영업 가구나 유자녀 및 여성가구의 소득 감소가 더 컸다.
10일 송상윤 한국은행 고용분석팀 과장이 발표한 ‘BOK 이슈노트, 코로나19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친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지난해 2~4분기 중 소득감소율(전년동기대비 2~4분기 감소율의 분기별 평균값)은 소득 1분위에서 마이너스(-)17.1%를 기록했다. 이는 고소득층인 소득 5분위(소득 상위 20%, -1.5%) 대비 11.4배, 중위층인 소득 3분위(-3.3배) 대비 5.2배나 큰 것이다. 하위 10% 소득 대비 중위(50%) 소득 배율도 2019년 2~4분기 평균 5.1배에서 2020년 동분기 중 5.9배로 상승했다.
이번 분석은 코로나19 피해 정도를 분석키 위해 실제 지급된 전국민재난지원금 등 정부지원정책 효과와 가구간 이전소득, 재산소득 등을 제외하고 본 것이다. 이에 따라 실제 현황과는 차이가 있다.
실제 작년 2~4분기중 경상소득(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이전소득)으로 본 분위별 증감율은 1분위가 3.4% 상승했다. 이어 4분위(3.2%), 3분위(2.3%), 2분위(1.7%0, 5분위(1.5%) 순이었다. 다만, 코로나19 관련 정부지원금과 실업급여 등 사회수혜금을 제외하면 1분위는 -8.0%로 하락폭이 가장 컸다. 이어 2분위(-3.5%), 3분위(-1.7%), 5분위(-0.3%)가 그 뒤를 이었다. 4분위(0.1%)는 증가를 기록했다.
이는 고용 상태가 불안정한 임시·일용직 및 육아부담이 큰 유자녀·여성가구(가구주가 여성이면서 미성년 자녀가 있는 가구)의 실직 때문이란 분석이다. 특히 임시·일용직 비중은 2019년 2~4분기 중 28.6%에서 2020년 2~4분기중 23.0%로 5.6%포인트 감소했다.
취업상태를 유지했지만 소득이 감소한 것은 고대면 일자리가 많은 자영업가구와 유자녀·여성가구의 소득 감소가 주된 원인이었다. 고대면이면서 유자녀 여성의 소득감소율은 -23.1%에 달했다.
송 과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가구소득 불평등이 확대되고 있다. 고착화하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자영업의 경우 폐업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감안하면 추가적인 고용조정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고, 여성·유자녀 가구의 경우 경력단절로 인한 소득 불평등 확대를 줄이기 위해 육아부담 경감 정책을 적극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