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22일 한미정상회담 관련 보도에서 대북 문제를 중요하게 다뤘다. 한반도 비핵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공급, 기후변화 등에서의 협력 소식도 함께 전했다. 다만 한미 공동성명에 거론된 대만 해협이나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고 넘어갔다. 일부 매체는 미일 공동성명과 비교하면서 한미 공동성명이 양측의 공동관심사인 4개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고 더 높게 평가하기도 했다.
이런 차분한 분위기는 한국이 미국 주도 ‘대중 포위망’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 깔린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한국은 가장 강력한 안보 파트너인 미국의 보조를 맞추면서도, 국가명이나 구체적인 인권 문제를 언급하지 않는 등 가장 강력한 경제 파트너인 중국을 최대한 자극하지 않으려 했다는 평가다.
관변 학자인 뤼차오 중국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신화통신에 “한미가 중국 문제와 관련, 할 수 있는 최대 수준의 합의를 했다”며 “한국은 미국과의 동맹을 강조했지만, 미국의 의향대로 중국에 적대적 조처를 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국수주의적 성향이 강하고 중국 지도부 속내를 여실 없이 보인다는 평가를 받는 환구시보는 대만과 남중국해가 거론된 데 대해 ‘내정간섭’이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환구시보가 운영하는 환구망은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백악관 회담과 한미 공동성명 발표 소식을 전하면서 ‘내정 간섭! 한미 공동성명 역시 대만해협과 남중국해를 언급했다’는 제목을 달았다. 지난달 미·일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이어 이번에도 대만해협과 남중국해 문제가 거론된 데 대해 불쾌감을 표시한 셈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 산케이신문 등 일본 언론매체들은 한미 공동성명에 ‘북한 대응 등을 위한 한미일 제3국 협력의 중요성’이 언급된 것에 주목하면서 이번 회담이 한일 관계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을 표출했다.
4월 미일정상회담과의 차이점도 관심거리였다. 일본 공영방송 NHK는 한미 공동성명에 대해 “중국을 직접 비판하는 것을 피하고, 인권 문제에 대해서도 구체적 사례를 언급하지 않았다”며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나 홍콩에서의 인권문제를 언급한 미일정상회담과는 대조적으로 중국을 지목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또 이번 회담에서 양국 정상과 각료들이 마스크를 쓰지 않은 것도 소개하면서 미국이 백신 접종으로 빠르게 정상화하고 있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