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함께하는 기업 CSR 국제 콘퍼런스' 개최
전문가들이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와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경영이 이젠 필수가 됐다고 입을 모았다.
윤성혁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과장은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2021 함께하는 기업 CSR 국제 콘퍼런스’에서 패널토론을 통해 "ESG는 대다수 기업에 원치 않는 시험이라 본다"면서도 "이제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 과거 기업은 재무적 성과 중심으로 평가받았지만, 최근엔 ESG가 대두하면서 사회적, 환경적, 건전하고 투명한 지배구조로 평가의 무게중심이 변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평가 잣대만 변하는 게 아니라 기업 경영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며 "이제 EU(유럽연합)가 관련 공시를 의무화했고 노르웨이 연기금, 블랙록 등 주요 자산운용사는 ESG를 준수하지 않는 기업에 투자를 배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ESG를 선두로 하는 기업들은 ESG 준수하지 않으면 협력사로 공급망에서 제외한다고 한다"며 "이제는 ESG는 전공필수가 됐다"고 강조했다.
김공덕 한국공항공사 사회가치추진실 실장은 공공기관의 ESG 현황에 관해 설명했다.
그는 "공공기관은 CSR이나 ESG 관련 추진 과제 13개 지표 중 5개 가치에 주력하고 있다"며 민간 일자리 창출, 윤리경영, 지역사회 등을 예로 들었다.
이어 "작년 하반기 정부가 경제 정책을 발표하고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과 관련해 공공기관에서도 탄소 감축이나 에너지 폐기물 절감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기존 전통적인 기부, 사회공헌에서 점차 변화하고 있다"며 "기관에 어떤 가치를 창출하는지가 중요시되고 있다. 공공 기관이 지역 사회에 경제적 가치를 창출해 지역 일자리를 높이는지 등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희경 CJ제일제당 사회공헌추진단장은 CSR과 ESG의 차이에 대해 "ESG에서 키워드는 투자"라며 "투자 결정을 내릴 때 ESG라는 영역을 가지고 지속가능한 기회와 리스크를 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발적인 것도 차이"라며 "CSR은 관련 비용을 안 쓴다고 해서 투자자들이 그것에 대해 나쁜 결정을 내리지는 않지만, ESG 영역에서는 같은 활동이 바뀌었을 때 투자받는 입장에서 사업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CSR와 ESG 경영 실천을 잘하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전 세계에서 잘하는 회사들이 거의 식품회사들"이라며 "네슬레도 그렇고 우리나라에서도 풀무원, CJ 오뚜기도 많이 언급된다"고 전했다.
정유진 트리플라잇 공동대표는 "지금까지 CSR에 대해 단순히 사회공헌으로 잘못 이해해온 부분이 있다"고 했다. 정 대표는 "지속가능한 경영 차원에서 해석하면 기업에 관심을 두고 압력을 가하는 다양한 주주나 소비자나 협력사 등 임직원이 대상이 될 것"이라며 "이해관계자와 어떻게 소통하는가가 기업에 중요한 과제"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