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에프엔가이드에 다르면 6일 기준 설정액 10억원 이상인 펀드 공모 펀드 설정액은 1조1914억 원으로 최근 1년 사이 1889억 원이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서만도 517억 원이 줄었다.
수익률도 증시 호조세에 비하면 미미하다. 전체 부동산 펀드의 최근 1년 수익률은 4.29%로 이 기간 코스피 지수 상승률 53.56%에 비하면 크게 떨어진다. 올 들어 수익률은 6.25%로, 소폭 낫지만 이 역시 15.03%인 코스피 지수 상승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상품별 수익률 차도 크다. 미래에셋TIGER부동산인프라고배당혼합자산상장지수투자신탁이 올들어 24.22%, 이지스부동산투자신탁 194가 21.09% 등으로 지수 상승률을 앞서는 수익률을 보이고 있는 반면 골든브릿지특별자산17, 골든브릿지특별자산 8 등의 상품은 90% 이상의 손해를 보는 등 온도차가 크다.
부동산 펀드는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 되면서 대체투자 수요가 늘면서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지난 2014년 이후부터 매해 두자릿 수의 성장률을 기록해 왔는데 2017년에는 30%를 넘어서기도 했다.
하지만 현 정부들도 20차례 넘는 고강도의 부동산 대책을 내놓으며 부동산으로 흘러가는 자금을 강력하게 규제하고 나서면서 가계는 물론 금융기관들의 투자도 줄어들 가능성이 커졌다.
실제로 최근 부동산 공모 펀드 수익률이 규제와 조정 등으로 주춤하면서 몰렸던 돈이 주식 등 위험자산으로 빠져나가는 추세다. 부동산 규제가 강해질수록 펀드 운용사 입장에선 수익률 목표가 낮이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소비자들에게 인기도 낮아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도 발목을 잡고 있다는 해석이다. 지난 해 코로나19 팬데믹 직후 ‘제로금리’를 도입한 미국 중앙은행(Fed)가 기준금리 인상 예상 시점을 기존 2024년에서 2023년으로 앞당겼다. 코로나19 백신 보급으로 경기 회복세가 빨라지고 있는 데다 전방위적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는 판단에서다.
우리나라도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지난 2일 조찬 회동을 갖고 ‘확장적 재정정책을 추진하되 통화정책 완화 축소’에 합의했다.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지만 저금리 장기화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금리 인상 필요성을 인정한 셈이다.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가시화되면서 부동산 펀드에 미치는 영향도 불가피해 보인다. 금리인상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적지 않지만 시장의 매수심리가 위축될 경우 거래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고 대부분 장기 투자하는 부동산 펀드에 들어가는 자금이 소극적으로 변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김지연 KB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펀드는 대부분 3년 이상의 장기간 투자가 진행되므로 투자 가능 기간에 주의해야한다”면서 “물에 투자하는 부동산펀드의 경우 자본시장법에 따라 환매가 불가한 집합투자기구로 설정되므로, 펀드 만기 시점까지 투자 여력이 있는지를 투자 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