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로] ‘식품 대통령’을 기대하며

입력 2021-07-16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재수 동국대학교 석좌 교수(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이번 달 7일부터 9일까지 대전 컨벤션 센터에서 코로나 19 이후 ‘건강과 편의’라는 주제로 한국식품과학회가 개최됐다. 국내외 많은 식품학자, 업계 대표자와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필자는 기조강연에서 식품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새로운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 19 이후 식품 부문이 직면하는 변화는 엄청나다. 당장 지구촌 먹거리 위기가 다가온다. 세계식량 계획(WFP)의 데이비드 비즐리(David Beasley) 대표는 몇 달 안에 대규모 ‘복합위기’(multiple crisis)가 온다고 예견했다. 국내적으로는 외식 감소로 중소 식당 등 외식업계가 직격탄을 맞았다. 생산 농민도 판매 애로와 소비 감소로 어려움을 겪었다. 온라인 구매가 확대되고 비대면 소비가 늘어나자 전통 유통 종사자도 위기를 맞고 있다. 새로운 변화에 발빠른 대응을 하는 사람은 기회를 잡기도 했다.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새로운 식품시대가 도래했다.

필자는 식품의 중요성과 미래 성장 가능성을 고려, 차기에는 ‘식품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 대통령, 안보 대통령, 외교 대통령도 필요하나 ‘식품 대통령’이 더욱 중요하다. 식품의 안정적 공급이 대통령이 수행해야 할 가장 기본의무이다. 코로나 19 위기 속에서 나라가 안정된 것은 식품 공급이 안정됐기 때문이다. 식료품 가격이 폭등하지 않았고 수급 불안이나 사회혼란이 없었다. 의료진의 헌신에 못지않게 식품 공급 체제가 안정된 것은 중요하다. 먹거리 불안으로 사회불안과 체제 전복 사례는 많다. 제2차 대전 시의 독일 패배, 구소련의 멸망, 북아프리카의 혁명, 북한의 고난 행군 등이 대표적 사례이다. 당면한 기후변화 위기 속에 먹거리의 안정 공급은 더욱 중요하고 차기 대통령이 갖춰야 할 기본적 자격이다.

식품 대통령이 필요한 이유는 식품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기 때문이다. ‘먹거리 시장을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고 한다. 세계 5위의 곡물 수입국인 우리나라에서 외교나 통상 협상, 자유무역협정 등 글로벌 이슈는 곡물 시장에 집중됐다. 국제 곡물 시장은 다국적 기업이나 거대 자본이 지배하기에 이들의 동향, 시장 상황, 국내 수급 등을 알아야 한다. 국제 감각과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 우루과이 라운드(UR) 협상 당시에 ‘한 톨의 쌀도 수입하지 않겠다’고 했다가 곤욕을 치른 겪은 전직 대통령을 기억한다. 코로나 사태 속에서 농식품 수출은 지난해 76억 달러로 사상 최고를 기록 했다. 수산식품 수출 23억 달러를 합치면 100억 달러에 이른다. 글로벌 식견을 가지고 해외 수출시장을 개척했기 때문이다.

향후 식품 부문은 IT, BT, NT 등 최첨단 과학과 기술이 주도한다. 이미 식당에서 키오스크로 주문하고 로봇이 배달해 준다. 로봇이 주방 도우미나 홀 서빙도 대신한다. 코로나 19를 계기로 식품의 넥스터 노멀(Next Normal)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 식품은 대표적 융복합 산업이다. 제조에도 다양한 식재료가 사용되며 여러 가지 맛과 기술이 요리에도 들어간다. 배달서비스도 나날이 발전한다. 가장 활발하게 영역이 파괴되는 분야가 식품 분야이다. 기존 산업이 파괴되고 새로운 일자리가 많이 창출된다는 이야기다. 손재주가 발달한 우리나라가 이 분야에 장점이 있다. 식품 부문은 사람과 산업과 지역이 융복합돼 새로운 미래를 창조하는 분야이다. 미래학자인 제이션 솅커( jason Schenker)도 미래의 유망 산업으로 농산업을 들었다. 식품의 미래변화와 고부가가치를 내다보았기 때문이다.

식품 산업은 매우 광범위하고 관련 종사자가 많다.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민이 225만 명이다. 생산물의 가공, 유통, 저장, 수출, 종자, 비료, 농약, 농기구, 토양 등의 식품 관련 종사자는 매우 많다. 2019년 기준으로 식품 제조업체가 62만 개, 종사자는 38만 명이다. 외식업체 수는 73만 개, 종사자가 220만 명이다. 식품 부문 전후방 연관 종사자를 합치면 국민의 18%인 약 900만 명이나 된다. 지난해 도시에서 농촌으로 귀농·귀촌한 인구도 35만 명이다. 또 식품 시장은 산지 생산부터 도매시장, 공판장, 소매시장, 마트 등 종사자가 많고 복잡한 먹거리 생태계가 있다. 이들이 여론을 좌우하고 민심을 주도한다. 선거 때만 되면 후보자들이 민심을 얻고자 시장으로 가는 이유이다. 차기 대통령은 농식품 산업을 이해하고 종사자들의 마음을 얻어야 한다. 대통령 선거 때만 되면 전통 시장에서 국밥 말아먹는 대통령으로 미래를 대비하기 어렵다. 차기에 ‘식품 대통령’을 기대하는 이유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