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적 인플레 조치에 미포함…“주택 구매는 자산 취득” 견해도
미국 주택가격이 2분기 전 지역에서 고공행진을 하면서, 시장 과열에 따른 버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집값 상승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부추긴다는 지적에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별다른 행동에 나서지 않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전미부동상중개인협회(NAE)는 미국 183개 대도시 가운데 182곳에서 단독주택 판매 가격 중간값이 1년 새 10% 넘게 치솟았다고 밝혔다.
2분기 단독주택 평균 판매가격은 지난해보다 22.9% 폭등한 35만7900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1968년 이후 약 50년 만에 최고치다.
저금리와 재택근무 확산 속에 주택 구입 수요가 늘어난 반면, 집주인들은 집값 상승 속에서 판매 계획을 취소하거나 이사 계획을 미루면서 시장에 나온 매물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택 시장 과열 양상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부추긴다는 우려가 나오지만, 연준은 별다른 조치에 나서지 않고 있다. 주택 가격 상승으로 부동산 시장에서 소외된 수백만 명의 구매자들의 곤경에 공감하면서도, 행동을 취하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라는 것이다.
이는 주택 가격이 연준의 권한을 형성하는 주요 인플레이션 조치에 직접적으로 포함돼 있지 않는 데 따른 결과다. 이에 따라 연준은 주택 가격이 오르더라도 가격을 억제할 필요가 없다.
금융시장의 안정을 판단하는 지표에 주택시장 가격이 포함되지 않는 이유는 주택 구매가 다른 소비와는 방식이 다른, 자산의 취득으로 분류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영국 통계청은 지난 2016년 인플레이션에서 주거 비용의 적용 범위를 평가할 때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인 반면, 주택을 사들이는 것은 다른 항목과 같은 방식으로 소비되지 않은 자산을 매입하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준 내부에서는 지나치게 과열된 주택 시장 상황을 고려해 통화 정책을 펼치자는 의견이 일부 나오기도 했다. 주택 시장 과열 방지를 위해 현행 월 400달러 규모의 주택저당증권(MBS) 매입을 국채보다 먼저 줄여나가자는 ‘2단계 테이퍼링’ 방식이 제안된 것이다.
하지만 이는 실현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말 기자회견에서 해당 주장에 대해 “연준 내부에서 지지가 상당히 적다”며 “매입 축소는 국채와 동시에 진행될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