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부제 마무리 수순…네트워크 개선ㆍ민간 클라우드 이용에 스타트업까지 나서
#. 이 모(25) 씨는 지난 2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백신 접종을 위해 휴대폰으로 백신 예약 접종 시스템에 접속했다. 앞서 50세 이상인 부모님이 예약 과정에서 ‘먹통’ 사태를 겪으며 밤을 지새웠던 터라, 이번에도 ‘피켓팅(피 튀기는 티켓팅)’이 될까 두려웠다. 하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이 씨는 10분여 만에 원하는 날짜에 백신을 맞을 수 있게 됐다.
만 18~49세 국민을 대상으로 이달 9일 시작한 백신 접종 10부제 사전예약이 이틀가량 남았다. 먹통이 되기 일쑤였던 지난 사전예약과 달리, 이번 10부제 예약은 비교적 원활히 진행됐단 분석이 나온다.
16일 이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이번 백신 접종 사전 예약을 위한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개선을 위해 국내 유수의 IT기업과 전문기관이 나섰다. 지난달 중순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민간 기업, 전문기관 등의 개선 작업이 이어진 결과다.
이번 예약 접수의 특징은 시스템 개선이 다양한 범위에서 이뤄졌단 점이다. 기존 질병청 서버를 개선하는 동시에, 본인인증 등 일부 기능은 민간 클라우드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예약 오류가 줄어들었다. 이를 통해 한 번에 많은 접속자가 몰려도 시스템이 ‘먹통’ 되지 않는 환경이 조성됐다. 정부가 10부제를 도입해 예약 인원을 나눈 것도 영향을 미쳤다.
우선 기업들은 기존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를 통해 접속 환경을 개선했다. KT는 백신 예약 시스템 네트워크 기술을 지원했다. 이달 초 지방자치단체 자율접종 3차 서비스 상황을 모니터링한 KT는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방안을 마련했다. 최대 가용량을 기반으로 동시 트랜젝션(데이터 연산 집합) 수치 등에 대한 네트워크 기술지원을 제공하면서다.
LG CNS 역시 시스템 개선에 나섰다. LG CNS 아키텍처 최적화 팀은 시스템 과부하나 돌발상황을 해결하는 등 장애를 처리하고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는 전문가들이다. 이들은 시간당 접속자 수가 30만 명 수준이었던 기존 백신 예약 시스템의 접속 가용 범위를 200만 명 이상으로 확대했다. 이를 통해 예약 서비스 병목 현상 90% 이상을 해소했다.
정부가 본인인증 기능을 민간 클라우드로 이관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선 클라우드 기술을 지원한 기업도 있다. 네이버 등 IT 대기업부터 스타트업 베스핀글로벌까지 다양한 기업이 참여했다.
베스핀글로벌은 클라우드 엔지니어와 개발자 등이 포함된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며 대비했다. 백신 예약에 나선 국민이 가장 먼저 보는 화면인 본인인증 부분을 클라우드에서 처리해 본 서버로 전송하고, 인증별로 사용자를 나눠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도록 했다. 베스핀글로벌 측은 “10분 안에 1200만 명의 접속자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 클라우드 역시 코로나 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대문 페이지, 본인 인증 대기 페이지, 예약 신청 대기열 등을 당사 플랫폼에 구축했다. 따라서 지난 9일 열린 백신 예약 시스템에서는 첫 대문 안내 페이지에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CDN+를 사용해 안정적인 서비스 전송이 가능했다.
IT 관련 전문기관도 백신 접종 예약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뛰어들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국정원과 함께 백신 예약 사이트의 보안을 담당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트래픽 양을 모니터링하며 시스템 개선 방안을 고민했다.
이번 협업에 대해 민간클라우드 구축 총괄 PM 역할을 담당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김은주 단장은 “촉박한 일정에도 불구하고 민간클라우드 드림팀이 사명감을 가지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성공적으로 이뤄냈다”며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를 가지고 민관 전문가들이 신기술 도입을 적극적으로 협력했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향후 공공부문의 민간클라우드 도입 확대에 있어 좋은 참고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