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에서 자율주행차로 사업방향 전환
자동차용 반도체, 비교적 단순한 제품이어서 허가한 듯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에 고강도 제재를 이어갔던 미국이 자동차용 반도체 수출을 일부 허가했다. 다양한 분야에서 중국과 마찰을 빚고 있지만, 기업들의 지속적인 요구 속에 국가 안보와 관련이 적은 부문에 대해서는 허가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상무부가 중국 화웨이에 수억 달러 규모의 자동차 반도체 칩을 공급하려는 판매업자의 승인 요청을 받아들였다고 보도했다. 통상적으로 상무부가 내주는 수출 허가 라이선스 유효기간은 4년이다. 화면 센서와 같은 차량 부품용 반도체는 비교적 단순한 제품이라는 점에서 상무부가 허가를 내준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여기에 최근 화웨이의 사업 방향의 변화도 상무부의 일부 수출 허용으로 이어졌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로이터는 “화웨이가 미국의 무역 금지 부문에서 덜 민감한 품목으로 사업을 전환하면서 승인이 나왔다”고 전했다.
미국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집권 시절인 2019년부터 국가안보 위협을 이유로 화웨이를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고강도 규제를 이어오고 있다. 이에 미국은 자국 기업들이 화웨이에 부품을 공급할 때 허가를 받도록 의무화하는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사실상 고성능 반도체 등 미국산 부품 조달을 제한하려는 조치였다. 조 바이든 행정부 들어서는 5G 기기용 반도체 수출 허가 요청을 거부했다.
미국의 고강도 제재로 고성능 반도체 조달이 크게 제한되자 화웨이의 스마트폰 사업은 직격탄을 받았다. 올해 상반기에만 전년 동기 대비 기준 30% 가까이 급감한 매출을 기록했다. 이에 화웨이는 생존을 위해 스마트폰 사업에서 자율주행차 등으로 무게 중심을 옮기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광둥성 선전시 정부 산하 투자회사와 스마트폰 딜러들이 공동으로 출자한 새 회사에 중저가 스마트폰 브랜드 ‘아너(Honor)’를 매각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상무부 대변인은 “정부는 미국의 국가 안보와 외교 정책 이익을 해칠 수 있는 상품, 소프트웨어 또는 기술에 화웨이가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라면서 “우리는 해당 면허 정책을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