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제약사들이 국내 R&D에 꾸준히 투자하면서 고용 창출과 치료 접근성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가 ‘2021년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R&D 비용과 연구인력에 대한 조사 결과 보고’를 30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신주영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연구팀과 공동 진행했다.
조사 결과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제약사 31개 사에서 2020년 임상 연구에 투자한 R&D 총비용(해외 본사에서 직접 외주한 R&D 비용 제외)은 약 5963억 원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도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2016년부터 5년간 지속적으로 조사에 참여한 25개 회원사를 기준으로 보면 전체 R&D 투자는 △3600억 원(2016년) △3956억 원(2017년) △4576억 원(2018년) △4760억 원(2019년) △5902억 원(2020년)으로 증가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에 참여한 31개사의 R&D 활동에 종사하고 있는 인력은 총 1846명(2020년 기준)으로 국내 고급 연구인력 고용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임상 연구 건수도 꾸준히 상승세다. 2020년 수행된 임상 연구 건수는 총 1499건이었다. 2016년부터 2020년도까지 5년간 데이터가 모두 수집된 25개 회원사를 기준으로 약 1200건의 임상 연구가 진행 중이며 2020년에는 초기 임상에 해당하는 1상, 2상의 증가율이 3상 증가율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했다.
KRPIA 회원사들은 임상시험을 통한 R&D 투자뿐 아니라 기초 연구지원(3건), 비 임상시험(4건), 국내 개발 물질 도입·국내 제약사 및 연구소와 공동 개발·국내 병원 및 단체와의 연구 개발을 위한 협약(12건) 등 다양한 공동 연구개발을 활발히 추진 중이다. 또 국내 대학과 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15건) 등을 통해 국내 신약 개발 역량 함양 및 국제 기준의 조화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임상연구를 통해 국내 환자에게 무상으로 의약품을 지원해 새로운 치료 기회를 부여하는데 사용된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비용 가치는 2020년 총 2266억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암과 희귀질환 임상연구 비율은 각각 64.5%(780건), 10.3%(125건)이었다. 특히 17개의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의 임상도 진행됐다. 이는 글로벌 제약사들이 임상 연구를 통해 기존 의약품으로 치료가 어려운 중증·난치성 질환부터 새로운 감염 질환 등에도 국내 환자들이 새로운 치료 옵션에 조기 접근할 수 있음을 뜻한다.
KRPIA는 “한국은 동아시아에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임상을 등록하면서 현재 세계 6위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는 임상시험 발전 5개년 종합 계획 등 지속적인 규제개선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환자 중심의 ‘탈중심화 임상시험(Decentralized Clinical Trials, DCT)’ 및 의료 빅데이터인 실사용데이터(RWD)·실사용증거(RWE)와 같은 다양한 비중재 연구 활용 등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국내 환자들의 혁신적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해서 선진국과 같은 제도적, 정책적 배려 등 다각적인 대책의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