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 중심 미래 기초ㆍ원천기술 확보 지원 강화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미래기술연구실과 국가핵심소재연구단을 100개로 늘리는 등 소재ㆍ부품ㆍ장비(소부장) R&D(연구ㆍ개발)를 지원하고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8차 소재ㆍ부품ㆍ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개최하고 ‘소재ㆍ부품ㆍ장비 미래 선도형 R&D 추진방안’을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방안은 그동안 수립ㆍ추진해온 소부장 R&D 고도화방안, 소부장 미래선도품목 R&D 추진방안 등 주요 R&D 정책의 구체적인 실행계획이다.
우선 소부장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로 기술개발에 몰두하는 소재 미래기술연구실을 매년 20개 내외로 신규 선정해 2025년까지 100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미래선도품목을 포함해 주요 이슈별로 반드시 극복해야 할 기술 난제를 발굴ㆍ정의하고, 미래기술연구실을 통해 해결할 방침이다. 특히 미래기술연구실의 연구자가 제시된 기술 난제를 해결하는 창의적 방법을 자유롭게 모색ㆍ제안하고, 연구를 실행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또 R&D 핵심품목의 미래 지향적인 기술 자립을 지원한다. 핵심품목의 기술 자립과 공급망 대체를 위한 국가핵심소재연구단도 2025년까지 100개로 늘린다. 연구단의 내년 신규 주제 발굴 시 소부장 기술 자립과 선도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R&D 핵심품목과 미래선도품목의 공통 요소기술 개발을 우선 지원한다.
소부장 연구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도 추진한다. 내년부터는 신소재 개발 과정에 지능형 로봇을 활용해 최소 연구인력으로 R&D 기간과 비용을 기존 대비 50% 이상 감축하는 ‘AI 로봇 활용 지능형 스마트 소재연구실’을 새롭게 추진한다. 나노종합기술원 등 공공 나노팹에서 고도의 공정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개별 장비 단위로 관리되던 공정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고, AI 적용과 활용을 지원하는 ‘나노팹 공정데이터 스마트화 서비스’도 신규 구축한다.
아울러 극한소재와 기술사업화 관련 신규 예타사업 추진을 준비하는 등 소부장 R&D 기반을 지속해서 확충한다. 우주, 에너지, 탄소중립 등 소부장 미래 유망분야의 선점을 위해서는 극한의 환경과 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소재의 확보가 필수적인 만큼, 극한소재의 시험평가부터 품질인증까지 가능한 원스톱 실증 기반을 조성하고 실증 R&D를 지원하는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예타사업을 추진한다. 극한소재는 초고온, 극저온 등으로 분류되며 2000℃ 이상의 초고온에서 사용하는 초음속비행 관련 극한소재와 영하 253℃ 이하의 극저온에서 사용하는 액체수소저장 관련 극한소재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소부장 미래분야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생태계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소부장 R&D 커뮤니티 활성화를 꾸준히 지원한다. 소부장 미래분야의 기초ㆍ원천 R&D 이슈 발굴과 신속한 대응 등을 위해 나노기술연구협의회, 소재연구기관협의회 등 기존 R&D 전문가 집단을 확대ㆍ활용해 전문가협의체를 구성ㆍ운영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세계적으로 주요국간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소부장 기술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관련 R&D 사업과 과학기술혁신본부의 범부처 R&D 조정 권한을 바탕으로 내년부터는 미래분야와 주력분야 간 균형감 있는 지원책을 본격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