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대선 테마주’의 계절이 돌아왔다. 여야권에서 대선후보가 확정되자 각종 인맥주들이 날뛰기 시작했다. 상장기업의 경영진이 대선 후보와 같은 학교, 지역 출신이라는 이유로 테마주로 분류되거나, 캠프의 주요 인사와 친분이 있다는 이유로 주가가 널뛰고 있다.
증시 역사가 증명하듯 정치 테마주의 끝은 처참하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16~18대 대선 기간 이상과열 현상을 보인 종목들은 선거날 직후 4.7% 상승했지만, 선거일 이후 5일째에는 누적 수익률 -7.12를 기록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16년 9~11월 거래된 정치 테마주 분석 결과 10명 가운데 7명이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계좌당 평균 191만 원의 투자손실을 입었다. 5000만 원 이상 투자한 고액투자가들은 92.8%가, 1억 원 이상 투자자들은 92.2%가 주가 하락으로 손해를 봤다.
정치 테마주는 기업의 실적이나 기술력 등 역량과 무관하게 주가가 움직인다. 이 때문에 무분별하게 투자할 경우 큰 손실을 볼 수 있다. 주식시장에서는 상당한 금액을 정치 테마주에 쏟아부었다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공공연하게 나온다. 기업 IR 담당자들도 정치 테마주 분류에 부담스러워하는 눈치다. 업계 관계자는 “대선 이후 주가가 급락할까 우려된다”고 토로했다.
이같은 우려에도 정치 테마주는 한동안 계속될 것이다. 후보 지지율에 따라 테마주가 오르내릴 것이고, 대통령이 확정된 이후에도 시장은 ‘누가 청와대에 입성할 것인가’ 주목하며 새정부 인맥주 찾기에 몰두할 것이다. 정치인의 말 한마디에 국회가 요동치고, 하루아침에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이 되기도 그 반대가 되기도 하는 곳이 정치판이다. 여당도 야당도 모르는 대선 결과에 단지 정치인과 얽힌 회사라는 이유로 투자하는 것만큼 불확실한 투자는 없다. 투자 회사에서 정치 이슈가 걷히면 무엇이 남을까. 좀 더 합리적이고 냉철한 투자가 필요한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