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뛰고 LG유플 쫓는데 KT는 ‘엉금’…“메타버스는 5G로 완성” 제언도
국내 이동통신사가 메타버스 서비스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SK텔레콤(SKT)이 플랫폼을 운영하며 가장 앞서고 있고, LG유플러스가 출발선을 지나 본격적인 레이스에 돌입했다. KT도 여러 구상안을 펼치는 등 저마다 다른 속도로 새 먹거리 찾기에 분주하다.
19일 이투데이 취재 결과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최근 메타버스 사업에 잇따라 도전장을 던지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곳은 SKT다. SKT는 지난 7월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를 출시해 운영하면서 그간 네이버 ‘제페토’가 독식하던 국내 메타버스 플랫폼 시장의 영토확장에 나섰다.
이프랜드는 다른 메타버스 플랫폼처럼 아바타를 활용해 가상공간을 이용하는 서비스지만, 모임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프랜드 안에서는 대형 콘퍼런스홀이나 야외 무대, 학교 대운동장 등 다양한 테마로 룸 모임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활용해 회의나 콘퍼런스 등을 열고 문서와 영상을 공유할 수 있다.
SKT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프랜드를 활용하며 점유율을 키우고 있다. 대표적인 분야가 엔터테인먼트다. SKT는 이달 중으로 참여형 메타버스 웹드라마 ‘만약의 땅’ 시즌 1을 공개한다. 이프랜드 아바타가 주연을 맡고, 이프랜드 안 공간에서 연출해 만든 콘텐츠다.
이프랜드 누적 이용자 수는 지난달 중순 기준 350만 명을 넘겼다. 출시 한 달 만에 기존 가상공간 플랫폼이던 ‘점프 버추얼 밋업’ 대비 사용자가 2배, 체류 시간은 5배가량 늘었다. 입점 요청 파트너사가 1000여 곳에 달하는 등 사업적인 성과도 적지 않다. SKT는 연내 미국, 유럽, 동남아시아 등 해외 서비스 론칭도 고심하고 있다.
LG유플러스도 메타버스 사업에 출사표를 던졌다. 대학교, 오피스 등 특정 이용자층의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며 솔루션 중심의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서비스가 숙명여대 전용 메타버스 공간 ‘스노우버스’다. 맘모식스가 개발한 플랫폼 ‘갤럭시티’를 기반으로 숙명여대 제1캠퍼스를 가상공간에 구축해 축제 콘텐츠를 제공했다. 해당 플랫폼을 교내 커뮤니티로 활용해 중고 물건을 거래하거나 금융 서비스로 확대하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기술 개발에도 공격적이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콘텐츠 개발 플랫폼 ‘유니티’를 운영하는 유니티코리아와 손잡았다. 내년 출시할 가상 오피스 서비스를 비롯해 다양한 메타버스 기술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앞으로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전담 연구개발(R&D) 조직이 있고, 메타버스 개발 툴인 유니티 인재를 양성하는 방안도 갖고 있다”고 말했다.
KT는 3사 중 가장 소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메타버스 관련 ICT 기업과 ‘원팀’을 결성하는 등 생태계 조성에는 나섰지만 구체적인 사업 방향은 나오지 않았다. 다만 업계에선 인공지능(AI) 등 KT가 탈 통신으로 사업을 전환하기 위해 힘을 주고 있는 신기술을 기반으로 메타버스 서비스를 개발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동통신업계가 메타버스 사업에 뛰어드는 이유는 통신업과의 연계성이 커서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버퍼링이나 화면 지연 등 불편 없이 구동하려면 5G 통신이 필수적이다.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해 5G망이 빠르게 구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조용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5G 인프라 투자가 활발해지고 관련 효과가 체감돼야 디지털 진화가 본격적으로 가능하다”며 “4G에서 메타버스 서비스가 외면받은 것은 데이터 전송속도와 지연 시간의 한계 때문”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