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내년 경제전망, 성장률 유지, 물가 0.2%p·0.5%p씩 상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발로 초래했던 제로금리 시대가 막을 내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금리 정상화에 가속도를 낼 예정이다.
25일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25bp(1bp=0.01%p) 인상한 연 1.00%로 결정했다. 8월 인상 이후 석달만에 추가 인상에 나선 것이다. 이로써 임시 금통위를 열고 빅컷(50bp 인하)을 단행했던 지난해 3월(1.25%) 중순 이전 수준에 한발짝(25bp)만 남겨두게 됐다.
이는 8월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여전한 가계부채 증가 및 부동산값 급등에 대응할 필요가 있었던 데다, 최근 높아진 인플레 압력에도 대응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금리결정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금리인상 이유로 “국내경제가 글로벌 공급 차질 등에도 성장세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물가상승 압력은 당초 예상보다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이는 점,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에 유의할 필요성이 여전히 높다는 점”을 꼽았다.
한은은 이날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4.0%와 3.0%로 예상했다. 이는 기존 8월 전망치와 같은 것이다. 새롭게 발표한 2023년 전망치는 2.5%였다. 소비자물가는 같은기간 2.3%, 2.0%, 1.7%로 예상했다. 이는 직전 전망치(올해 2.3%, 내년 1.5%) 대비 각각 0.2%포인트와 0.5%포인트 상향조정한 것이다.
김웅 한은 조사국장은 “우리경제는 대내외 경기회복에 수출과 투자가 양호한데다, 백신접종 확대와 방역정책 전환(위드코로나)에 힘입어 소비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물가 역시 국제유가 상승세가 당초 예상보다 크게 확대된데다, 물가 오름 품목이 확산하는 등 수요측 물가상승압력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플레 우려와 경제 호조에 연준 역시 정상화 행보에 힘이 실리게 됐다. 미국 대표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은 전월대비 1.3% 늘어 시장 전망인 1.0% 증가를 웃돌았고,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5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연준은 24일 공개한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정책 유연성을 강조하면서 필요하다면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