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리버리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로 개발중인 ‘iCP-Parkin’이 알츠하이머의 주범인 병리적 타우 (pathological tau)의 엉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16일 밝혔다.
엉킨 타우(tau tangle)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으로 지금까지 추정되어 온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β-Amyloid plaque)와 함께 뇌 신경세포를 손상시키는 주범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타우의 병리적인 응집이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 단백질보다 알츠하이머병의 뇌손상에 더욱 직접적인 원인으로 여겨지면서 글로벌 제약사들도 타우 타깃 치매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iCP-Parkin은 베타-아밀로이드 유도 알츠하이머병 치매모델에서 기억력 및 판단력을 나타내는 인지능력의 회복효능(96%)을 보이고,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응집체를 제거(97%), 뇌신경세포를 보호하고 인지기능회복의 치료효능을 보여줬다. 타우 엉킴을 유발한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의 뇌세포에서도 타우 엉킴의 원인인 인산화된 타우의 양을 99% 이상 감소시키고, 타우 엉킴으로 유발된 인지기능 상실을 94%까지 회복시키는 효능을 증명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알츠하이머는 뇌조직 해마 부위의 뇌신경세포에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 응집체가 쌓여 뇌신경세포를 죽음에 이르게 하면서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 상실이 급속히 진행되는 난치성 퇴행성 뇌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환자 수는 약 1억5000만 명 규모이며, 관련 시장은 2024년 16조 원 이상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최근 바이오젠의 ‘아두카누맙’이 베타-아밀로이드와 결합해 제거하는 기전을 가진 단일항체로써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조건부 판매승인을 받았으나, 베타-아밀로이드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방법에 대한 낮은 효능과 안정성 이슈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
바이오젠, 로슈 BMS, 애비브 등 글로벌 제약사들은 대부분 아두카누맙과 같은 단일항체를 기반으로 하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어 낮은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BBB) 투과율 때문에 뇌신경세포 내부에 직접 전송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반면 iCP-Parkin은 일반 단일항체 치료제보다 최대 약 30배 이상의 혈뇌장벽 투과율(5.6%)을 나타냈다.
셀리버리 관계자는 “복수의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뇌질환 파이프라인의 개발 및 개선을 위해 약리물질 생체내 전송기술(TSDT) 플랫폼 기반 혈뇌장벽 투과기술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 중”이라며 “TSDT 플랫폼기술과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iCP-Parkin의 라이선싱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