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는 6일 발간한 보고서(ESG 시대, 유통ㆍ소비재 기업의 미래 전략)를 통해, 유통ㆍ소비재 기업이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협력업체 및 소비자와 접점을 폭넓게 형성하고 있는 만큼 기업 경영의 핵심으로 ESG 비즈니스를 이행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2021년 KPMG 글로벌 소비 트렌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소비자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더불어 투명성과 정직성 등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0%의 소비자는 사회에 공헌하는 윤리적 기업의 제품 구입에 더 높은 지불 의사를 보였다. 소비자 37%는 코로나19 이후 지속가능한 제품과 서비스를 더 선호하게 됐다고 답했다.
보고서는 유통 및 식음료, 패션, 화장품 등 섹터별 ESG 비즈니스 트렌드 사례를 분석했다.
식품 기업들은 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이나, 판매가 어려운 식재료를 재가공하여 완전히 다른 식품으로 재창조해내는 ‘푸드 업사이클’로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콩비지로 만든 글루텐 프리 밀가루나 맥주 부산물을 활용해 만든 비건 쿠키 반죽 등이 푸드 업사이클로 만들어진 제품의 대표적인 사례다.
패션업계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폐플라스틱으로 친환경 섬유나 패션 제품을 개발하는 ‘패션 업사이클’에 적극적이다. 국내 섬유 기업 효성티앤씨는 버려지는 페트병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플라스틱을 녹여 리젠(Regen)이라는 친환경 섬유를 개발했고, 패션 기업 한섬은 재고를 활용한 친환경 인테리어 마감재 제작에 나서고 있다.
네슬레, 타이슨푸드 등은 기술력을 보유한 대체식품 관련 업체를 발굴하고 투자 및 인수합병(M&A)을 추진하며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화장품산업에서는 환경 관련 ESG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기업이 많아지면서 이른바 ‘착한 화장품’이 주목받고 있다.
신장훈 삼정KPMG 유통ㆍ소비재산업 리더는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 유통·소비재 기업은 ESG 경영 전략에 필수적으로 나서야만 생존이 가능한 시대가 도래했다”며 “오늘날 ESG는 장기적 모멘텀을 가진 시대적 흐름이며, 국내 유통·소비재 기업은 선도적 ESG 경영 전략을 수립 및 실행하고, 기업가치 제고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