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이후 농장 발생 없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한 숨 돌렸지만 여전히 '긴장'

입력 2022-01-08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번 겨울 19건 발생 그쳐…산란계 발생 적어 달걀 생산 피해 최소화

▲경기도 이천시 복하천 인근 철새도래지에서 이천축협 관계자가 조류인플루엔자 차단을 위한 방역을 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 겨울 달걀 가격을 폭등시켰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이번 겨울에는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큰 피해를 주지 않고 있다. 방역 관리 강화와 농장의 인식 변화 등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는 분석이다. 다만 아직 철새가 국내에 다수 머물고 있는 만큼 확산 위험은 여전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전북 정읍 종오리 농장에서 고병원성 AI 의심축이 발생했다고 7일 밝혔다. 해당 농장은 오리 1만6000마리를 키우고 있으며, 반경 1㎞ 이내에 오리 사육 농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병원성 여부는 1~3일 이후 나올 예정이다. 농장에서 AI가 확인된 것은 이달 1일 1만4000마리를 사육 중인 전남 무안의 오리 농장에서 발생한 이후 약 일주일만이다.

지난 겨울 맹위를 떨치며 달걀 가격을 끌어올렸던 고병원성 AI가 상대적으로 올해는 큰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이번 겨울 가금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인된 사례는 총 19건에 살처분된 가금류는 약 180만 마리로, 지난 겨울 전국적으로 약 3000만 마리가 살처분 된 것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수치다.

특히 달걀 가격과 연결되는 산란계의 경우 지난 겨울 약 1700만 마리가 살처분 됐지만 이번 겨울에는 66만 마리가 살처분되는 데 그치고 있다.

이같은 방역 성공을 두고 개선된 방역 관리를 비롯해 현장에서의 인식 변화 등이 고병원성 AI 확산을 막는데 기여를 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AI 방역 정책을 개선해 AI 발생 위험을 2주 단위로 평가한 후 위험도에 비례해 예방적 살처분 범위를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산란계 농장은 예방적 살처분 대상에 포함하더라도 방역 수준에 따라 제외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질병관리 등급제도'도 도입해 운영 중이다.

다만 추위가 본격화하고 철새 이동량이 많아지는 1~2월은 여전히 확산의 고비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AI 발생에 따른 산란계 살처분 수준에 따라 달걀 수급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방역 정책 개선으로 과거와 같은 대규모 살처분 발생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한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최근 간담회에서 "올해 방역 정책의 핵심은 위험도에 비례한 예방적 살처분의 범위 조정"이라며 "살처분 범위를 꾸준히 줄여왔고, 이번 겨울부터는 예방적 살처분 반경을 500m까지 좁히되 2주마다 방역 상황에 맞춰 범위를 조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