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30년까지 음식물쓰레기를 20% 줄일 계획이다. 공공 구내식당에 잔반량을 확인할 수 있는 푸드스캐너를 도입하고, 버린 만큼 수수료 내는 ‘RFID 종량기’ 보급을 확대한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담은 '음식물쓰레기 중점 관리 대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2026년까지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2019년 대비 10%, 2030년까지 20%를 감량하는 것이 목표다.
서울시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하루 2540톤으로 전체 생활폐기물의 26.3%를 차지한다. 서울시는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이 지금은 감소세지만, 1인가구가 늘고 식생활 패턴이 바뀌고 있어 앞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2030년까지 가정에 음식물쓰레기 수분을 제거하는 싱크대용 탈수기 2만5000개와 건조·발효 방식의 소형 감량기 6850대를 보급한다. 올해는 싱크대용 탈수기 1000개, 소형 감량기 50대를 시범 보급해 감량 효과 파악에 나선다.
아파트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버린 만큼 수수료를 내는 'RFID 종량기' 보급률을 현재 69%에서 2026년 80%, 2030년 90%까지 확대한다.
유통매장, 호텔, 병원 등 대형 사업장에는 대형 감량기를 매년 100대씩 보급한다. 올해 공공기관 구내식당 등을 중심으로 105대를 보급하고, 2030년까지 총 1000대를 설치할 계획이다.
공공 구내식당에서는 인공지능(AI)이 저울 없이 음식물 무게를 파악하는 'AI 푸드 스캐너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AI 푸드 스캐너는 AI가 식사 전·후 그릇을 스캔해 섭취량과 잔반량 데이터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필요한 조리 양을 예측할 수 있어 학교 급식의 경우 최대 55%까지 잔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음식물쓰레기를 20% 줄이면 온실가스 34만1000톤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소나무 200만 그루를 심는 것과 맞먹는 효과라고 시는 설명했다.
앞으로 서울시가 건립할 음식폐기물 처리시설은 바이오가스화 시설로 설치해 난방·전력·수소생산 등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바이오가스화 시설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면 약 60% 감량효과가 있다.
현재 건립 중인 강동자원순환센터와 서남·난지물재생센터 내에도 바이오가스화 전환을 추진한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버려지는 음식물은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이지만 온실가스 배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며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배출량 자체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