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하루 확진자가 17만 명을 넘나들면서 대유행에 접어들었다. 정부는 코로나19를 풍토병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추진함과 동시에 mRNA(messenger RNA) 백신 생산 및 개발을 적극 지원하기로 하면서 국내 개발사 현황에 관심이 모인다.
김강립 식약처장장은 이달 초 큐라티스 제조소(충북 오송)에서 열린 ‘mRNA 바이오벤처 컨소시엄’에서 참여해 “국산 mRNA 백신 개발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컨소시엄에는 백신안전기술지원센터와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아이진, 진원생명과학, 큐라티스, 보령바이오파마가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화이자나 모더나 코로나19 백신으로 대표되는 mRNA 플랫폼 기술은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이 담긴 mRNA를 인체에 주입해 우리 세포가 스스로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어 내는 방식을 활용한다. 몸 안에서 스파이크 단백질이 생산되면 이를 대상으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원리다.
이 방식은 △의약품 생산에 필요한 시간이 짧고 △제조에 드는 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며 △백신 뿐 아니라 항암제 같은 다양한 질병 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어 혁신적인 의약품 개발 플랫폼으로 기대받고 있다. 식약처는 국내에서 mRNA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스템과 인프라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는 총 8종의 코로나 백신이 개발 중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과 HK이노엔, 유바이오로직스는 노바백스처럼 단백질 재조합을 활용한 코로나 백신을 개발 중이며, 셀리드는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제품과 같은 방식의 바이러스벡터 백신을 연구 중이다. 제넥신과 진원생명과학은 바이러스 항원을 발현시킬 수 있는 DNA를 체내에 투여하는 DNA백신을 만들고 있다.
이 가운데 mRNA 백신을 개발하는 대표 업체로는 큐라티스와 아이진이 꼽힌다. 큐라티스의 차세대 mRNA 코로나19 백신 ‘TAP104’은 지난해 7월 임상 1상 시험 계획을 승인을 받았고, 현재 세브란스병원에서 임상 시험 중이다. 지난해 DSMB(데이터 안전성 모니터링 위원회)로 부터 약물 이상 반응, 혈액 검사 등에서 안전한다는 평가를 받아 최근 증가된 용량 투여에 대한 임상 시험에 진입했다.
특히 QTP104는 비임상 실험 수행 결과 코로나19 원바이러스는 물론 델타 변이도 방어할 수 있는 중화항체를 강하게 유도하는 것을 확인했다. 큐라티스는 백신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난해 12월 30일 기술 특례 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신청해 코스닥 상장 준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아이진이 mRNA 방식으로 개발 중인 ‘이지-코비드(EG-COVID)’는 현재 서울 아산병원에서 1·2a상이 진행 중이다. 이 회사는 지난달 초 이지-코비드의 안전성 및 추가접종(부스터샷)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1·2a상을 호주에 신청했다. 이달 초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도 같은 임상을 신청했고, 7월부터 해외에서 추가 접종용으로 승인받기 위한 임상을 추진한다.
최근에는 코로나 19 치료제·백신 신약개발사업단의 투자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협약 대상 과제로도 선정됐다. 이에 따라 아이진은 정부로부터 올해 말까지 2단계로 나눠 72억 원의 지원금을 받게 된다. 아이진 관계자는 “현재 진행 중인 연구개발과 부스터샷의 해외 임상, 오미크론 변이 전용 백신의 신규 개발 역시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서 개발 중인 mRNA 백신은 대부분 코로나19를 대상으로 하는데 너무 늦은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옥스퍼드대학교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전세계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자는 43억 5000만 명으로 접종 완료율이 55.7%에 달하는 만큼 코로나19 백신 개발이 의미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저개발 국가의 경우 백신 접종률이 아직 낮은데 다 새로운 변이가 또 다시 확산될 경우 새로운 백신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여전히 개발 필요성은 있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한 백신 개발 업체 관계자는 “당장의 수익성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기술력 확보도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