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연구원, 모빌리티 빅데이터로 3~5차 대유행 분석 결과
한국교통연구원은 1일 "거리두기 정책에 따라 국민들의 통행량이 감소하는 폭이 급격히 줄어든 상태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활용해 거리두기 단계조정에 따른 통행량 감소 정도를 코로나19 3차 대유행 전후(2020년 10월~2021년 5월), 4차 대유행 전후(2021년 6월~2021년 11월), 5차 대유행 전후(2021년 12월~2022년 1월) 등 3개 시기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3차 대유행 기간 동안 거리두기 단계의 상향 조정으로 1주일 기준 최대 약 28만 통행까지 감소하면서 그 영향력은 약 16주 간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4차 대유행 기간 동안에는 거리두기 단계의 상향 조정으로 1주일 기준 최대 약 22만 통행까지 감소하면서 그 영향력은 약 6주 간 지속됐다. 하지만 5차 대유행 동안에는 거리두기 단계변화에도 통행량이 뚜렷하게 감소되는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이 5차까지 장기간 지속되면서 거리두기 단계강화가 국민의 통행량 감소에 끼치는 영향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유행 전체 기간을 하나의 기간으로 분석한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됐다.
확진자의 증가가 통행량 감소에 끼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였다. 분석결과 3차 대유행 시기에는 확진자수 증가에 따라 1주일 기준 최대 약 11만 통행까지 감소하면서 그 영향이 약 20주 간 지속됐고 4차 대유행 시기에는 확진자수 증가에 따라 1주일 기준 최대 최대 6만 통행까지 감소하면서 그 영향이 약 6주 간 지속됐다. 그러나 5차 대유행 시기에는 확진자수 증가에도 통행량이 뚜렷하게 감소되는 경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원은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거리두기 단계 조정 등에 의한 통행량 감소 효과는 거의 사라졌다고 볼 수도 있다고 판단했다. 이어 향후에는 거리두기 정책을 강화하더라도 통행량 감소 효과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돼 효과적인 대유행 관리를 위한 새로운 정책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조범철 연구위원(모빌리티빅데이터분석팀장)은 “향후에는 통행 총량의 감소를 유도하기 보다는 통행 집중도를 분산하는 방향으로 정책추진이 필요하며, 특히 극심한 출퇴근 혼잡 등 특정시설이나 시간에서의 집중도를 완화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이 요구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