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들 "갑작스런 이전 통보에 당혹스러워"
보안 공백 우려, 전문가들 "해킹 위험 있어 심각해"
"국방부 내 재난망, 군사·외교망 등 안보 통신망 부실"
"원격 지원 불가능한 경우, 업체들 매번 국방부 들어와야"
업체 추가 비용 발생, 계약서 상 '전기료·이사비용' 부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용산으로 집무실 이전을 추진하면서 예상치 못한 피해가 연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국방부 직원 수천명의 일괄 이동이 불가능하다보니 급한대로 국방부 내 유휴건물로 이동하면서 애초 이곳에 파견나온 외주업체 직원 수백명이 갑작스럽게 방을 빼게 됐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이 과정에서 보안에 '구멍'이 생겼다는 것이다.
25일 이투데이 취재 및 국방위 소속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단독 입수한 국방부 외주업체 현항을 분석한 결과, 기존 국방부 내에서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등의 업무를 진행 중인 업체는 21개, 파견인원은 36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8개 업체 소속 260명은 이미 19일부로 방을 뺐다. 한 대기업의 경우 무려 117명이 한꺼번에 이동해야 해 애를 먹었다. 남은 업체들도 비슷한 상황이 재연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한 업체 관계자는 이투데이 기자와 만나 "사후 대책, 계획 없이 갑작스런 이전 통보에 너무 당혹스러웠다"며 "프로젝트 데드라인이 다가오고 있어 안그래도 급박한 상황에서 이전 등으로 시간만 허비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보안 공백 우려다. 군사전문가인 김종대 전 의원은 "국방 통신망은 단순히 인트라넷만 까는 수준이 아니다"라며 "재난망, 군사망, 외교망부터 굉장히 많은 안보 통신망으로 구성됐다. 협력 업체들이 영내에 들어온 이유 역시 신속하게 유지, 보수해서 업무 공백이 업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원격 지원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매 건 업체들이 들어와야 하는 상황"이라며 "사전 예방체계보다는 복구 중심으로 관계부서나 업체들의 업무도 맞춰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또 다른 군 관계자도 "국방부에서 보안장비, 보안 소프트웨어(SW) 등 보안시설이 없어 보안성이 확보되지 않은 건물로 갈 경우엔 해킹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업체는 수억 원에 달하는 국방부 네트워크 망 구축도 별도로 해야할 상황이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완벽한 물리적 보안을 위해 처음부터 국방부 네트워크 망을 깔고 작업했다"며 "하지만 다른 곳으로 이전했기 때문에 해당 네트워크를 다시 깔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계획에 없던 추가 비용도 발생한다. 계약서에 따르면 전기료, 이사 비용은 모두 해당 업체들이 부담하도록 돼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8개 업체 모두 국방 관련 시설로 이전하게 돼 임대료 부담이 추가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중 3개 업체는 모두 보안 업체로 옛 방위사업청 건물로 이사했다. 나머지 5개 업체는 각각 육군회관, 옛 사이버사령부 등으로 이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