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스튜어드십 코드는 이제 첫발을 떼 시작했습니다. 기업들 기관 투자자들의 활동을 연구하고 대비해야 하는 단계입니다”
김수연 법무법인 광장 환경·사회·지배구조(ESG)연구원 연구위원은 28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 다이아몬드홀에서 열린 ‘이투데이 ESG포럼 2022, ESG 리스크 관리: K-ESG의 성공 열쇠’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연구원은 “기업은 지배 구조 이슈 외에 현재 법률상 강제하지 않는 탄소 감축, 공급망 관리, 다양성, ESG 이슈 고려해야 하는 시대를 맞이했다”며 “이것이 투자 흐름이 견인하고 있는 트렌드”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현재 우리 시장에 대해서는 “기관 투자자가 드라이브를 걸어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0년 영국과 일본은 스튜어드십 코드를 개정하면서 ESG를 반영했다.
스튜어드십 활동 스펙트럼은 저비용 저강도의 비공식 서한, 의결권 행사부터 고비용 고강도인 소송까지 있다. 김 연구원은 초기에 문제를 포착해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기업이) 비공개 서한에서 (ESG) 문제를 포착해서 해결하면 투자자들로부터 발생하는 ESG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민연금은 고비용, 고강도로 주주권을 행사하려는 방법보다 대화나 비공개 서신 등을 활용해 스튜어드십 역량을 키우는 게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국내 스튜어드십 코드 개정안에 채권, 부동산 등으로 확대되는 안이 담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를 통해 기업의 ESG 이슈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스튜어드십 활동이 강화될 것이라고 봤다.
그는 기관 투자자들의 ESG 관련 스튜어드십 코드에 대해 기업이 위기로 인식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김 연구원은 “서로 윈윈하려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의 대응 전략으로 △기관 투자자의 대화, 소통 시 이사 참여 확대 △주주 관여 내용 공시 등을 제시했다.
김 연구원은 “이사는 회사 경영진과 함께 ESG 중요 안건에 대해 정기적으로 대형 기관 투자자와 대화를 해야 한다”며 “미공개 정보 유출에 대비한 이사 교육은 필수”라고 했다. 공시에 대해서는 “관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기재해야 한다”며 “관여를 원하는 주주를 위해 이메일 주소 등 소통 채널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