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백신 접종률ㆍmRNA 백신 승인도 중요 신호
시진핑 3연임 확정 이후에나 정책 변화 기대 시각도
그러나 중국 당국이 이런 접근 방식을 영원히 고수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제로 코로나를 단번에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규제를 폐지할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중국이 제로 코로나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알려줄 수 있는 6가지 신호가 있다며 시장은 이를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관련 정책의 주요 변화에 앞서 관영 언론매체나 정부 커뮤니케이션, 중국 내 공중보건 토론 등에서 어조의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고위층 고문들과 관영매체들은 현재 ‘위드 코로나’가 잘못된 생각이라고 강조하면서 코로나19는 계절성 독감보다 훨씬 더 큰 위험이라는 점을 대중에게 각인시키려 애쓰고 있다. 이는 싱가포르나 호주 등 과거에 중국처럼 ‘제로 코로나’ 정책을 취했던 나라들과 대조적이다. 현재 이들 정부는 백신만 맞으면 바이러스가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 외교관계협회(CFR)의 황옌중 글로벌 보건 담당 선임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언제 균형 있고 객관적이며 공정한 방식으로 코로나19 관련 위험을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는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정부가 오미크론의 온화한 성격과 상당히 낮은 치사율을 강조하는 방향을 전환할 때가 정책이 바뀔 시점이 됐음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신호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현재 감염병법에 따르면 코로나19는 에이즈와 바이러스성 간염, 조류인플루엔자, 광견병 등과 함께 B급 전염병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 법안은 페스트나 콜레라와 같은 가장 위험하고 심각한 전염병에 엄격한 봉쇄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옥스퍼드대학의 천정밍 전염병학 교수는 “중국 내 감염병 관리법에서 코로나19 지위가 강등돼야 그 대처 방식도 조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한국은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초기 코로나19를 에볼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과 같은 최고 위험 질병으로 지정했지만, 이후 결핵과 콜레라를 포함하는 하위 범주로 이동시켜 지난달 중순까지 거의 모든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해제할 수 있었다.
싱가포르에서 호주, 뉴질랜드에 이르기까지 제로 코로나의 초기 지지국들은 모두 노인과 면역체계가 약한 사람들, 즉 가장 취약한 그룹에 대한 예방접종이 이뤄지고 나서 방역을 완화하고 개방했다.
중국도 개방됐을 때 대량 발병과 사망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스탠다드차타드(SC)의 딩솽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은 80세 이상 인구의 백신 접종률이 80%에 도달해야 실질적으로 완화되기 시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80세 이상 중국 인구의 절반만이 두 차례 접종을 끝낸 상태다. 상하이는 그 비율이 15%에 불과했다.
중국의 코로나19 대응을 주도해온 전염병 학자인 량완녠 칭화대 교수는 지난달 “제로 코로나를 고수하면 중국이 항바이러스제와 백신 개발을 가속화할 시간을 벌 수 있다”고 말했다.
즉, 화이자의 팍스로비드처럼 효과적이고 승인된 코로나19 치료제를 충분히 확보하면 당국의 정책이 바뀔 여지는 주는 셈이다.
중국이 1년 이상 승인을 지연한 화이자의 mRNA 백신에 대해 입장을 바꾸는 것도 주목해야 한다. 이미 푸싱제약이 중국 본토 유통권을 갖고 있는 상태이나 중국 정부는 외국 백신 승인을 꺼리고 있다.
당국이 입국자에 대한 의무적인 호텔 격리 기간을 현재의 14일에서 줄이거나 양성 반응을 보인 사람들의 자택 격리를 허용하는 것은 정책 완화의 분명한 신호가 될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내다봤다.
천정밍 교수는 “중국이 부스터샷을 맞은 사람들이 더 쉽게 입국할 수 있도록 하기 시작하는 것도 당국이 전면적 규제 대신 고위험 집단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더 움직이고 있다는 신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이 확정되는 올해 말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 이후 방역이 완화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보고 있다.
시 주석은 지난 2년간 중국의 코로나19 억제 방식이 서구권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강조했기 때문에 이를 너무 빨리 포기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위험할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강조했다.
또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통제를 이념 경쟁으로 보는 당국의 입장이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