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이 STO(Security Token Offeringㆍ증권형토큰제공) 시장 진출을 검토 중이다. 금융위원회의 증권성 여부 판단이나 서비스 허가가 넘어야 할 산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새 정부와 금융 당국이 STO에 우호적인 만큼 신사업 개척에 유효하다는 판단에서다. 지역에 디지털자산거래소를 설립하려는 부산시와, 해운산업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항만업계의 이해 또한 맞아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빗썸은 부산시, 해양진흥공사와 함께 STO 서비스를 구상 중이다. 선박의 잔존가치(중고선가)를 토큰화해 해운산업에 필요한 자금을 유치하는 내용이 골자다. 선박금융의 활성화를 위해 STO를 도입하고, 해당 증권 및 금융상품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다.
빗썸이 STO 사업에 뛰어든 배경으로 새 정부 출범과 금융위의 입장 변화 기류가 꼽혔다. 기존 금융 당국은 가상자산과 가상자산에서 파생된 서비스를 금융상품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STO의 경우 상품 출시 전 당국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투자자 보호조치를 취해야 하는 등 자본시장법과 통하는 부분이 있어 디지털자산 활성화를 위해 규제를 완화할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아직 STO에 대한 뚜렷한 방침은 없다"라면서도 "실물 자산과 연동하고, 예탁결제원 등 기존 금융회사와 연계되는 방식라면 더욱 안정적인 투자 형태로 여겨질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그간 박형준 부산시장과 부산시는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을 위해 심혈을 기울여왔다. 기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다루는 가상자산뿐 아니라 STO, NFT(Non-Fungible Tokenㆍ대체불가능 토큰) 등의 상품을 다루는 게 골자다.
지난 3월 부산시의회는 '부산광역시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을 위한 지원 조례'를 가결, 설립을 지원하기 위한 밑바탕을 그렸다.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지원할 수 있는 전담조직을 설치하고, 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을 준비 중이다.
업계 전문가는 "부산에서 선박 유동화 증권을 발행하면 부산에 특화되기도 했고, 블록체인 특구가 있어 규제 샌드박스 취지에 적합하다고 보고 있다"라며 "새 정권과 부산시장의 소속 정당이 같은 만큼 힘이 실린다고 보고 있지 않겠나"라고 풀이했다.
이와 관련해 빗썸 관계자는 "아직은 (금융당국의) STO 관련 가이드라인이 나오지 않은 상태"라며 "현재 정해진 내용이 없어 확인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