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까지 양봉산업 1조 원·농가소득 5000만 원…첫 5개년 계획 수립

입력 2022-06-07 15: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밀원 매년 3000㏊ 식재·우수 품종 보급…'종합대책 추진단' 구성

▲청주의 한 양봉장에서 양봉업자가 아카시꿀을 채밀하기 위해 벌집틀을 꺼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생산이 감소하고 있는 양봉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대책을 마련한다. 밀원(蜜源)을 확충하고 우수 품종을 개발해 2026년까지 양봉산업 규모 1조 원, 양봉 농가 소득은 5000만 원까지 끌어올린단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의 양봉산업 육성 및 지원 5개년 종합계획을 마련했다고 7일 밝혔다.

이에 이번 대책은 밀원 확충 및 채밀기간 확대, 병해충 관리강화 및 우수 품종 개발, 환경변화 대응 신기술 개발, 시설 현대화, 수급안정·수요확대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를 통해 2026년까지 양봉 농가의 소득 5000만 원, 양봉산업 1조 원 규모로 성장시키는 것이 목표다.

먼저 산림청은 밀원 자원을 늘리기 위해 노령림·경제림을 벌목·갱신할 경우 헝가리산 아까시 등의 밀원을 매년 3000㏊ 식재한다. 연중 채밀(벌이 꿀을 얻음)할 수 있는 다층형 복합 밀원숲을 조성하고, 꿀벌의 채밀기간을 현재 약 4개월에서 2배로 늘릴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특이물질 탐지 디지털 센서 기술을 활용해 부저병, 백물병 등 질병의 조기 예찰·방제 체계를 구축한다. 아울러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을 토대로 꿀벌 발육 이상증세 조기 확인 등의 사양관리 신기술도 개발한다.

농식품부는 양봉농가와 지자체에 각각 방제약품·질병 진단도구를 보급하는 동시에 신품종 개발 등을 통해 2026년까지 벌꿀 생산성을 현재 봉군당 13.7㎏에서 30㎏까지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농진청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질병·중독물질 노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개발 등 기초연구, 양봉산물 성분·생리활성 플랫폼 구축, 산업적 활용에 필요한 원료 표준화 및 품질관리기준 설정 등 산업화 지원 등 연구개발에 연간 74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또 평년 벌꿀 생산량의 10%인 2000톤을 업계에서 비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 민간이 벌꿀 수급을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박홍식 농식품부 축산경영과장은 "이번 대책이 환경변화와 이상기온 등의 영향으로 최근 벌꿀 흉작과 올해 초 발생한 월동꿀벌 피해 등으로 위축된 양봉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며 "농진청, 산림청, 지자체, 양봉농업인 단체·농협, 자조금 관리위원회 등과 함께 양봉산업 종합대책 추진단을 구성해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2019년 양봉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지난해 8월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이번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국내 양봉산업은 밀원 자원은 축소하는 반면 사육 규모는 늘어 꿀 생산 감소 상황에 처해 있다. 여기에 신규 병해충 발생 등으로 생산성도 지속해서 줄고 있다.

1970~80년대 47만8000㏊에 달했던 밀원 면적은 2020년 기준 14만6000㏊로 3분의 1 수준이다. 반면 양봉 농가는 2011년 1만9000호에서 2020년 2만9000호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벌꿀 생산량은 2011년 2만1100톤에서 지난해 1만5000톤까지 줄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