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차 ESG경영 포럼' 개최...신정부 ESG정책 방향과 향후 전망 등 논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원자재 가격 급등 위기를 맞아 경제안보(Security) 산업의 ESG이슈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산업통상자원부, 김앤장 법률사무소와 공동으로 27일 '제10차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을 개최하고 신정부 ESG 정책방향과 향후 전망 등 최근 ESG 현안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은 세계적으로 경제·경영·사회 전반에 걸쳐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리스크 관리 및 정책지원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고 있다.
온라인으로 중계된 이날 회의에는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이형희 SK SV위원회 위원장, 이민우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과장, 김동수 김앤장 ESG경영연구소장, 김형태 김앤장 수석이코노미스트, 송영훈 한국거래소 상무, 이진규 PWC 파트너, 이재혁 고려대 교수, 문두철 연세대 교수 등이 자리를 함께했다.
먼저 김형태 김앤장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경제성장과 경제안보 관련 산업 그리고 ESG'를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김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한국경제는 수출이 경제성장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 석유화학, 조선, 이차배터리 등 관련 수출산업의 ESG 이슈 검토가 필요하다"며 "특히 석유화학산업과 관련해서는 탈탄소에 집중하는 유럽형 친환경모델과 달리, 방출된 탄소를 포집, 중화, 상쇄하는 미국형 친환경모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경제안보가 부각되고 있는바, 물(식수), 식량, 에너지, 사이버보안과 같은 경제안보 관련 산업의 ESG 이슈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ESG에서 S를, Social(사회)에 Security(안보)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 해석할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그는 "특히 경제 안보 관련 산업 중에서 원자력산업은 소형모듈원전(SMR) 기술과 함께 원자력폐기물 처리기술이 동시에 발전돼야 하고, 식수와 관련해서는 친환경 담수화기술, 식량과 관련해서는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등을 이용한 식량네트워크 구축, 영양과 칼로리 위주의 바이오식량 개발 등을 고려할 필요 있다"고 주장했다.
'신정부 ESG정책방향과 향후 전망'에 대해 발제를 맡은 김동수 김앤장 ESG경영연구소장은 "최근 글로벌 시장은 ESG를 도입하는 단계를 지나, ESG 확산 단계로 전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 소장은 "글로벌 주요 선진국들은 법제화를 통해 ESG 정보공시를 촉진하는 한편, 과도한 ESG 워싱과 평가에 대해서는 규제하며 투명한 ESG 정보를 바탕으로 시장 활성화를 추구하고 있다"며 "이제 ESG 성과가 우수한 기업과 낮은 기업에 대한 구분이 가능해질 것이다”고 전망했다.
이 같은 맥락에서 그는 "신정부의 ESG 정책은 글로벌 시장 변화에 대응해 △기업의 자발적·혁신적 노력 이끌어 내기 위한 민간주도의 ESG 확산 △ESG 확산 지원을 위한 ESG 금융확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종별 ESG 정책 강화 △중소중견기업 ESG 지원강화를 우선 과제로 꼽았다"고 했다.
'OECD가이드라인 주요 내용과 시사점'을 주제로 마지막 발제 맡은 장진호 법률사무소 성의 변호사는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은 우리 해외진출기업들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ESG의 국제기준으로 위반에 대한 분쟁해결 시스템을 갖췄다는 점이 다른 기준들과의 차별점이다"고 말했다.
장 변호사는 "한국 기업들이 해외로 진출하면서 가이드라인을 위반하는 경우 기업 이미지 하락, ESG평가 하향 등으로 오히려 투자에 지장을 받는 요인이 될 수 있으니 가이드라인에 따라 인권·환경에 더욱 신경 써야 할 것이다"고 조언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글로벌 기업들이 ESG경영 수준 미달시 거래선에서 배제하기 시작했고, 금융권에서도 금융거래기업에게 ESG경영을 실천하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등 ESG경영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한국경제와 기업이 지속성장하고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선 민관이 긴밀한 소통과 협업을 통해 산업 전반의 ESG경영수준을 제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