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선물은 해마다 같아 보이지만 시대마다 변화를 거듭해왔습니다. 정을 나누며 주고 받던 명절선물을 보면 당시 시대상을 읽을 수 있습니다.
설 선물의 시작은 그림입니다. 조선시대 도화서에서는 새해가 되면 임금의 만수무강을 빌고, 악귀를 쫓기 위해 불로초를 든 선동(신성의 시중을 드는 아이)을 그려 진상했는데요. 이런 관습이 민가로 전해져 정월 초하루가 되면 서로의 복을 기원하는 의미로 설 그림을 주고받았습니다.
이후 1960년대까지만 해도 선물이랄 것이 없었습니다. 경제 개발이 시작되긴했지만, 전쟁의 상처가 여전해 선물은 설탕이나 밀가루, 조미료 등 먹을 것에 집중됐습니다.
선물세트가 등장한 건 1970년대부터입니다. 산업화로 식료품보다는 화장품, 속옷, 양말 등이 매대를 채웠습니다. 특히 커피 세트는 다방문화 확산과 맞물려 그야말로 ‘대박’을 쳤죠.
1980년대부터 명절 선물 문화가 본격화되는데요.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양과 질이 모두 갖춰졌습니다. 스카프, 지갑, 넥타이 등이 인기를 끌었고, 참치, 햄 통조림이 처음 등장했습니다. 선물 배달이 시작된 것도 이때부터입니다.
1990년대 선물의 키워드는 개성이었는데요. 취향에 맞는 물건을 살 수 있는 상품권을 주고받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또 양극화가 시작되면서 100만 원이 넘는 양주도 많이 팔렸습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웰빙’ 바람을 타고 홍삼, 올리브유, 와인 등이 날개 돋힌 듯 팔렸습니다. 고령화 사회에 맞춰 효도폰, 가정용 의료기기도 인기가 좋았습니다.
2016년 김영란법이 시행되면서 명절 풍경이 확 달라졌는데요. 비싼 한우와 굴비 등이 매대에서 빠지고, 과자ㆍ라면세트, 양말, 과일(소포) 등 실속을 차린 제품들이 그 자리를 메웠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역시 많은 변화를 가져왔는데요. 가장 이색적인 키워드는 '여행'입니다. 이번 추석에 GS25는 한화리조트 제주와 협업해 ‘제주 살기’ 상품을 내놨고, CU는 목조주택 전문기업 연하우징과 손잡고 이동형 주택을 선보였습니다.
보상 심리가 반영되면서 명품, 자동차 등 초고가상품을 찾는 사람들도 많아졌는데요. 이마트24는 초소형 전기 트럭 2종과 마사다 전기차 3종을 내놓았습니다. '누가 마트에서 차를 사?' 하겠지만, 3대나 팔렸다고 하네요.
올해 여러분들은 어떤 선물을 주고, 받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