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기록적인 폭우를 감당하기 위해 처리 가능한 강우량 처리목표를 현재 시간당 최대 95㎜에서 최대 110㎜까지 높이기로 했다. 또 지역별 목표치를 세분화해 정교하게 방재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6일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더 촘촘한 수해안전망 추진전략'(2022~2032)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인명피해 근절과 재산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10년간 총 3조5000억 원을 투입해 5개 분야 17개 대책을 주친한다.
5개 핵심 분야는 △강우처리목표 재설정 △지역 맞춤형 방재시설 확충 △대피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데이터·예측 기반 시스템 구축 △반지하 거주민 등 침수 취약기구 안전 강화 △공공·민간 안전시설 확충이다.
현재 시간당 95㎜인 '방재성능목표(강우처리목표)'를 시간당 100㎜로 높인다. 강남역 일대는 분지형 지형으로 침수에 취약한 만큼,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해 시간당 110㎜로 추가 상향한다. 시가 방재성능목표를 조정한 것은 2012년 이후 10년 만이다.
상향된 강우처리목표에 맞춰 지역별로 정교하게 방재시설을 설치 확충한다. 이중 중점관리지역인 강남역, 도림천, 광화문, 사당역, 용산, 길동 지역에 2032년까지 1조5000억 원을 투입해 합계 18.9㎞ 길이의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을 설치한다.
침수취약지역 등 침수우려가 있는 46개 지역에 대해서는 2조 원을 투자해 빗물펌프장 18곳 증설, 빗물저류조 3곳 신설, 하수관로 정비, 하천단면 확장, 산사태 우려지역 정비 등의 조치를 실시한다.
한유석 물순환안전국장은 "도시의 수해 안전도를 높이는 과정은 많은 예산과 시간을 필요로 하지만 '시민안전'은 타협할 수 없는 시정 가치"라며 "2032년까지 대심도 배수터널을 완공하겠다"고 말했다.
대심도 터널 예산 조달계획에 대해 한 국장은 "6개의 대심도 터널 건설에 총 1조5000억 원이 들어가고 1차에 총 9000억 원을 들여 3개를 우선 건설할 것"이라며 "현재 총 공사비에 25%가 국비로 잡혀 있는데 이를 50%까지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인력 중심의 기존 수방대응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데이터, 사물인터넷(IoT) 같은 첨단 기술 기반의 '지능형 수방시스템'을 구축한다. 대피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침수취약 도로, 반지하주택 등의 침수상황을 감지기로 감지해 문자 등으로 실시간 대피 경고하는 '스마트 경고시스템'과, 주거지역에 대한 '침수 예‧경보제'를 내년 시범 도입한다.
장기적으로는 인공지능(AI)으로 수방 관련 데이터를 자동 분석‧예측해 실시간 전파하는 'AI 기반 수방통합시스템'을 구축한다.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사각지대를 없앤다는 목표로 반지하 등 침수취약가구에 대한 안전대책도 강화한다. 장애인, 독거어르신 같이 긴급대피가 어려운 세대에 1대 1 공무원을 지정해 집중호우시 대피와 복구를 돕고, 내년 우기 전까지 침수방지시설도 무상으로 설치한다.
지난번 폭우로 인명피해가 발생했던 맨홀은 연말까지 침수우려지역 1만 곳에 '추락방지시설'을 설치한다. 전 지하철역사 출입구에는 내년 5월까지 차수판(물막이판)을 설치하고, 지하주차장 등에 물막이시설 의무설치를 위한 법제화도 추진한다. 침수시 물을 퍼내는 양수기를 가까운 곳에서 쉽게 대여할 수 있도록 내년 우기 전까지 1만9000대를 동주민센터 등에 확대 배치한다.
한 국장은 "지형·지물을 고려해 침수 취약 지역의 경우에 의무적으로 물막이판을 설치하도록 해야만 침수를 예방할 수 있다"며 "설치 의무화 법제화를 중앙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