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금리인상 재확인 “5~6%대 물가 지속되는 한 물가안정 최우선”
인상 폭과 경로는 11월 연준 결정 등과 영향 점검 후 결정
“현재 한국 금융·경제여건 과거 위기 때와 크게 다르다”
이창용<사진> 한국은행 총재가 투명한 포워드가이던스(forward guidance·선제적 안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사실상 재고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기준금리 정책과 함께 외환시장 개입 등을 조합하는 통합정책체계도 자본유출시 적용에 제약이 따랐다고 밝혔다.
15일 이 총재는 미국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에서 가진 ‘글로벌 통화정책 긴축 강화와 한국의 통화정책’이라는 주제 강연에서 “지난 4월 한은 총재로 부임한 후 이제 6개월이 지나고 있다. 현재까지 느낀 두 가지 교훈”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포워드가이던스로의 이행을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며 “조건부 설명에도 불구하고 (저의) 포워드가이던스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지난 베이스라인 시나리오를 서약(commitment)이나 약속(promise)으로 여기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가급적 언급을 피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겨왔던 오랜 방식에서 벗어나기에는 현실적으로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여러 가지 애로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앞으로 대외요인을 통제하기 어려운 소규모 개방경제의 특성을 감안하여 어느 정도, 어느 속도로 이러한 관행을 변화시켜야 하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할지도 모르겠다. 변화는 어려운 것임에 틀림없다”고 밝혔다.
이는 이 총재가 7~8월 중 포워드가이던스를 제시할 때 25bp 인상 기조를 가져가겠다고 발언한 것에 대한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국제통화기금(IMF) 재직 당시를 회고하면서 IMF에서 소규모 개방경제의 통화정책은 금리만을 정책수단으로 사용하기보다는 필요에 따라 외환시장개입, 자본이동관리조치, 거시건전성정책 등을 조합해야 한다는 통합정책체계(Integrated Policy Framework)를 개발하는 데 일부 기여했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고 소개한 후 “실제 지난 수개월간 정책을 입안하면서 현실에서 얼마나 실행하기 복잡한 일인지 깨달았다”며 “특히 자본유입에 대응할 때와 달리 자본유출이 있을 경우에는 통합정책체계를 적용하는 데에 제약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기준금리 추가 인상 의지도 재확인했다. 다만, 인상 폭과 경로는 11월 미국 연준(Fed)의 결정 등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점검 후 결정하겠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5~6%대 수준의 높은 물가상승률이 지속되는 한 물가안정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명확히 했다. 다만 향후 금리 인상의 폭에 대해서는 7월과 딜리 구체적이 수준을 제시하지 않았다. 11월 미 연준의 결정, OPEC+의 감산 등에 따른 에너지 가격 움직임, 중국의 당대회 후 제로 코로나 정책의 변화 가능성, 엔화와 위안화의 변동성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너무 크기 때문”이라며 “이러한 대외여건 변화가 국내 물가와 성장, 그리고 금융 및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점검하면서 향후 금리 인상폭과 그 이후의 금리 인상경로를 결정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그는 “현재 한국 금융·경제여건은 과거 두 차례의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1997년 및 2008년 때와 크게 다르다”고 평가했다. 그 이유로 이 총재는 국내총생산(GDP)의 41%에 이르는 순대외금융자산(NIIP), 4100억달러가 넘는 외환보유고, 낮아진 외환보유액대비 단기외채 비율, 원화표시 비중이 높아진 대외채무, 고평가 되지 않은 실질실효환율과 이에 따라 아직 낮은 코리안페이퍼(KP) 스프레드, 신용부도스왑(CDS) 프리미엄 등을 꼽았다.